본 연구는 부모와 별거중인 연변지역 청소년들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애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청소년복지를 향상하기 위한 근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중국 연변조선족자치구의 용정과 연길 2개시의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조선족 청소년들 중 현재 부모와 별거중인 545명을 대상으로 2011년 8월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대상자들은 부모 모두와 별거중인 경우가 63%로 가장 많았고, 부와 별거22.8%, 모와 별거 17.2%로 나타났다. 부모와의 별거사유를 살펴보면 해외취업이 69.3%로 가장 많았으며, 부모 이혼 22.3%, 부부갈등으로 인한 별거 8.0% 순으로 나타났다. 부모와 별거시작 시기는 부모와의 애착관계가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는 시기인 유아기 및 아동기가 가장 많아 10세 이전에 부모와 별거를 시작한 대상자들이 53.5%로 높게 나타났고, 별거기간도 과반수이상이 4년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와의 별거기간이 길수록 부 애착 및 모애착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 애착 및 모 애착이 증가할수록 학교적응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와의 별거기간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데 부 애착과 모 애착이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와의 별거기간은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부모애착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만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청소년 복지 증진을 위해 부모애착과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separation and school adjustment among Korean-Chinese adolescents,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s of father attachment and mother attachment on those relationship and to suggest practical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services for those adolescents.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the use of a survey instrument completed by 525 adolescents who have been separated from parents in 1-2 grade middle school and 1-3 grade high school students, Yanbisn(Yanji, Longjing City), China.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AMOS 18.0 and SPSS 18.0.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ubjects reported 63% of both parent separation, 22.8% of father separation, 17.2% of mother separation. The reasons of parent-child separation reported oversea employment 69.3%, parental divorce 22.3%, separation due to marital conflict 8.0%. Also 53.5% of subjects experienced parent-child separation under the age of 10. Second, longer separation from parents showed lower father attachment and mother attachment. Thirds, father attachment and mother attachment had fully mediating effects on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separation and school adjustmen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 discussion reinforced the importance of parent-child attachment and suggested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