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캉이 강조하는 욕망은 존재결여에 대한 관계이자 존재를 향한 맹목적 정념이다. 라캉은 존재 정념인 사랑, 미움, 무지를 나르시시즘 정념, 즉 상상적 정념에 대립시킨다. 상상적 정념이란 자아와 존재의 틈을 오인하면서 통합적 일자를 겨냥한다. 반대로 존재의 정념이란 대상관계에서 주체가 경험하는 영혼의 동요나 수동적 파토스가 아니라 언어가 사라지게 만든 잃어버린 주체의 기원을 되찾기 위한 욕망의 지속이다. 이때 무지의 정념은 지식과 존재의 불일치 때문에 발생하며 사랑과 미움의 출발점이자 원천이 된다. 사랑과 미움은 욕망 속에서 무지의 정념을 표현하는 이차적 정념이다. 무지의 정념이란 욕망이 겨냥하는 대상에 대해 전혀 알 수 없고 타자의 욕망을 통해서만 자신의 욕망을 볼 수밖에 없는 상황에 처한 주체가 직면하는 곤혹스러움이다. 그런데 이러한 모순적 조건이 욕망을 발생시키는 원인이며, 결국 정념은 대상이 아니라 잃어버린 존재를 향할 수밖에 없다. 우리는 욕망을 형식으로 정념을 욕망의 목소리이자 살처럼 간주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존재를 향한 정념인 욕망은 고통과 좌절 속에서 계속되어야 하는 윤리적 행보이다.
Le desir auquel Lacan toujours accorde l`importance est a la fois le rapport au manque a etre et la passion aveugle pour saisir l`etre. Lacan oppose les passion de l`etre, l`ignorance, l`amour, la haine a la passion narcissique, autrement dit imaginaire. La passion narcissique qui releve de la meconnaissance de la beance entre le moi et l`etre vise enfin l`Un totalisant. En revanche, la passion de l`etre est ni l`agitation de l`ame, ni la pathos passive que le sujet eprouve dans la relation a l`objet. Elle est l`insistance du desir pour retrouver l`origine perdue que le langage fait disparaitre. La passion de l`ignorance qui se produit alors de la discordance entre le savoir et l`etre est le point de depart et aussi la source de l`amour et de la haine. Celles-ci sont la passion secondaire qui presente la passion de l`ignorance dans le desir. Celle-ci n`est donc rien d`autre que l`embarras que le sujet rancontre dans une situation ou il ne sait rien du tout de l`objet de son desir et il est a reconnaitre son desir a travers le desir de l`Autre. Mais cette condition cotradictoire est la cause du desir. La passion ne vise qu`a l`etre, non pas a l`objet. Nous pouvons donc concevoir le desir comme la forme et la passion comme son voix et sa chaire. En conclusion, le desir, c`est-a-dire la passion pour le l`etre est le chemin ethique qui doit se continuer dans la douleur et l`ech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