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자녀 직장여성이 다중역할을 경험하는데 경험의 칠(긴장감과 이득)에 따라 어떤 하위집단들이 존재하는지 군집분석을 통해 살펴보고, 분석을 통해 도출된 하위집단들의 심리적인 특성(우울, 삶의 만족도, 일-가정 균형감) 및 가정환경, 근로환경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대부분 전일제로 근무를 하는 동시에 막내 자녀의 나이가 초등학생 이하인 19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3개의 하위집단으로 구분되었다 군집l 은 ``다중역할 갈등형``으로 다중역할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긴장감을 많이 느끼는 집단이었다. 심리적 특성을 보면, 삶의 만족도가 낮고 우울감은 높으며 일-가정 균형감은 낮았다. 가정환경적 특성 중 가사와 양육에 대한 본인 부담 비율이 세 군집 중 가장 높은 집단이었다. 군집2는 ``다중 역할 강화형``으로 다중역할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이득을 느끼는 집단이었다. 심려적 특성을 보면, 삶의 만족도가 높고 우울감은 낮으며 일-가정 균형감에 대한 평가는 높았다. 가정 환경적 특성 중 가사 일에 대한 본인 부담 비율은 세 집단 중 가장 낮았다. 군집 3은 다중역할에 대해 이득이나 긴장감 중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집단으로 ``마중역할 중렵형``으로 명명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각 군집에 대한 특성에 대한 해석과 함께 시사점,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subgroups of working mothers divided by work-family gains, work-family strains, work-parenting gains and work-parenting strains. Results from a cluster analysis with a sample of married and employed women with the youngest children under 12 years old (N=196) indicated the presence of three clusters. Cluster 1 was characterized by greater multiple role strains, lower satisfaction with life, a higher depression score, and more difficulties in work-family balance. This group also reported raking more responsibilities for household chores and parenting. Thetefore, this group was named ``multiple role conflicts type``. By contrast, Cluster 2 showed the characreristics of greater multiple role gains, more satisfaction with life, a lower depression score, and more balance in work-family roles. Individuals in this cluster also reported less responsibilities for household chores and parenting.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Cluster 2 was named ``multiple role enrichmeot type``, Finally, Cluster 3 showed an average level of multiple role gains and strains. Based 00 these characteristics, Cluster 3 was named ``multiple role neutral type``.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