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마음챙김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공상자각과 탈중심화의 매개효과
Relationship of Mindfulnessand Psychological Well-being: Mediational Effects of the Imagination Awareness and the Decentering
문정순 ( Jung Soon Moon ) , 한규석 ( Gyu Seong Han )
UCI I410-ECN-0102-2012-180-003221214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마음챙김이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보고되고 있지만 그 과정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마음챙김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공상자각과 탈중심화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참여자는 광주 소재 2개 대학교의 남녀 대학생 276명이었다. 이들은 마음챙김, 공상자각, 탈중심화, 그리고 심리적 안녕감을 측정하는 척도에 응답하였다.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절차에 따라 위계적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공상자각이 마음챙김과 심리적 안녕감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탈중심화가 마음챙김과 심리적 안녕감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마음챙김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공상자각과 탈중심화가 모두 부분적 매개효과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마음챙김으로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구체적인 심리 변인인 공상자각과 탈중심화의 과정적 기제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밝혔다는데 있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mechanism for the effect of mindfulness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The imagination awareness and the decentering were hypothesized to play the role of mediators. Participants were 276 college students of both sexes. They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which contained measures of mindfulness, imagination awareness, decenter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ollowing the test of mediational effects by Baron & Kenny (1986), we performed several sets of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ach of the two factors of imagination awareness and decentering was shown to be a partial mediator between mindfulness and psychological well -being. The two factors were shown to play multiple mediators when put into the equation simultaneousl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e study examined firstly the mediational process of the mindfulness leading to the psychological well-being. The two mediators of imagination awareness and decentering are needed to be focused on to increase positive effects of mindfulness training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