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캐나다 도박행동 척도(CPGI)를 사용한 자료에서 도박행동에 대한 개념적 구조 및 측정적 특성이 남녀집단간에 어떻게 다르며, 어느 정도까지 일반화 될 수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양적 검증 결과를 보면, 도박행동에 대한 개념구조가 남녀간에 대등하였고, 측정단위는 9개 문항중 6개 문항에서 동일성이 확인되어 부분적 측정단위 동일성을 확보하였다. 단위동일성이 성립하는 6개 문항에 대해서는 측정원점 동일성이 지지되었다. 따라서 요인점수의 산출이 의미있는 경우로 보고 집단을 비교할 수가 있다. 따라서 양적인 결과만 보면 적어도 남녀간에 공통적인 측정체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이 된다. 그러나 좀 더 세부적인 평가를 해보면 몇가지 문제가 지적된다. 우선 단위 차별성이 확인된 5, 6, 7번 문항은 모두가 "문제(problem)"라는 단어를 공통으로 포함하고 있고, 여성들이 보다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국내용 번안척도 개발시 이 세 문항의 번안에서 남녀간 차별성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요인분산이 남자집단에서 .024(p=.000) 여자집단에서 .007(p=.000) 인 것은 통계적 유의함과 관계없이, CPGI에서 측정하는 구성개념에 의문을 가지게 한다. 여자집단에서는 0에 가까운 분산으로서 전혀 응답자들이 변별되지 않는 척도임을 의미한다. 남자집단에서도 실질적으로 의미있는 분산으로 보기에는 매우 미흡하다. 국민일반을 대상으로 하여 공중건강의 취지에서 폭넓게 변별해 보고자 한 목적이 위반될 가능성도 있다.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measurement invariance of Canadian Problem Gambling Index(CPGI) in terms of conceptual structure and psychometric properties across male and female groups. Results showed configural invariance(equivalence of conceptual structure), partial metric invariance(6 out of 9 items), and scalar invariance(6 items with metric invariance). The results suggest that intergroup comparison can be conducted between male and female groups and factor mean differences can be interpreted meaningfully. However, several problems were revealed by looking into detailed features of CPGI. Firstly, noninvariance was found in the factor loadings of items 5, 6, and 7 to which special attention should be paid in adapting the scale to a Korean version. Also attention should be given to the very small size of factor variance in both male(.024) and female(.007) groups. Although the two values of varian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y are not practically meaningful. CPGI seems unable to discriminate the general public to an extent which has been expected from the perspective of public heal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