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놀이치료자가 지각한 내담아동의 치료저항과 역전이 감정이 치료동맹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놀이치료자가 지각한 내담아동의 치료저항이 놀이치료자의 역전이 감정을 통해 치료동맹에 어떠한 경로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의 놀이치료자 120명을 대상으로 놀이치료자가 지각한 내담아동의 치료저항 척도, 역전이 감정 척도, 치료동맹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SA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 중다회귀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치료자가 지각한 내담아동의 치료저항이 높을수록 치료동맹을 낮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놀이치료자가 지각한 내담아동의 치료저항이 높을수록 애정 역전이 감정은 낮아지고, 거부, 불안정, 두려움, 동정 역전이 감정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놀이치료자의 역전이 감정 중 애정이 높을수록 치료동맹을 높게 지각하고, 불안정이 높을수록 치료동맹을 낮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놀이치료자가 지각한 내담아동의 치료저항은 치료동맹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역전이 감정 중 애정과 불안정을 통해 치료동맹에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child`s therapy resistance perceived by the play therapist would influence therapeutic alliance through his or her countertransference feeling. The subjects were 120 play therapists in Seoul and Gyeonggi areas. The Child`s Therapy Resistance Scale, Countertransference Feeling Scale and Therapeutic Alliance Scale were use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AS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showed as follows: First, the child`s therapy resistance perceived by the play therapist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rapeutic alliance. Second, the child`s therapy resistance perceived by the play therapist turned out to influence all the five kinds of countertransference feeling. Third, the play therapist`s affection and instability of countertransference feeling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rapeutic alliance. Fourth, the child`s therapy resistance perceived by the play therapist had direct effects on therapeutic alliance and indirect ones on it through affection and inst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