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29.216.15
3.129.216.15
close menu
KCI 등재
일상생활의 마음공부 -유무념 공부를 중심으로-
Mind Practice in Daily Life: With a Special Focus on the Practice of Checking Mindfulness and Unmindfulness
장진영 ( Jin Young Jang )
종교교육학연구 37권 111-134(24pages)
UCI I410-ECN-0102-2012-200-002875128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현대사회의 마음에 대한 관심은 학문적·이론적 영역을 넘어서 경험적·실천적 영역으로 확산되고 있다. 전문적인 훈련기관을 찾아 일상의 생활과 세속의 인연을 끊고 자신의 마음만을 집중하는 ``정기(定期)의 공부``도 중요하지만, 일상의 가정과 직장을 떠나지 아니하는 ``상시(常時)의 공부`` 즉 ``일상생활의 마음공부`` 또한 중요하다. 원불교는 불교의 시대화·생활화·대중화를 지향하며, 일상생활 속에서 출가와 재가에 상관없이 누구나 이 불법(佛法)을 공부하고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도록 그 공부법으로 ``훈련법(訓練法)``을 제정하고 있다. 이 가운데 ``유무념(有無念) 공부``는 일상생활의 경계(境界)에서 응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공부법 중 하나이다. 유무념 공부는 첫째 ``하자는 조목``과 ``말자는 조목``의 ``유무념 조목``을 미리 정하는 ``준비공부``, 둘째 실제 경계 상황에서 미리 정한 조목을 잊어버리지 아니하고 ``온전한 생각으로 취사``하는 ``실행공부``, 셋째 이때 취사하는 주의심을 가지고 한 것을 ``유념(有念)``으로 하고, 그렇지 못한 것을 ``무념(無念)``으로 하여 매일 대조하여 그 공부 정도를 살피는 ``반조공부``로 이루어진다. 이는 각각 「상시훈련법」 「상시응용 주의사항」의 2조, 1조, 6조의 내용과 일치하는 것으로 유무념 공부의 패턴이 상시공부의 기본 패턴[2조→1조→6조]을 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유무념 공부의 범위도 동·정을 반복하며 확대될 수 있으므로 구경에는 무시선(無時禪)·무처선(無處禪) 공부와 연결될 수 있다. 유무념 공부는 1925년경 일상생활에서 마음공부[상시공부]를 점검하기 위하여 ``유념무념대조법(有念無念對照法)``을 실시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그러나 1928년경 단원들의 ``일기성적조사법(日記成績調査法)``이 정식으로 시행되면서 유무념 공부는 일기법보다 초보적이고 낮은 수준의 공부법으로 인식되거나, 일기법 시행 이전의 예비단계 공부로 인식되는 경향이 자리하게 되었다. 하지만 유무념 공부는 깊은 단계에 이르게 되면 그 양상이 사뭇 달라진다. 즉 초입 단계에서는 외부의 경계에 따라 유념·무념을 조사기재하는 대조공부가 주를 이루는 반면에 공부가 능숙해진 단계에서는 내면의 심경에 따라 그 대조 범위가 크게 늘어나 동할 때나 정할 때나 항상 본래 마음[공적영지의 자성]을 떠나지 아니하고 심신(心身)을 사용하는 지경에까지 이르게 된다. 이처럼 유무념 공부는 일상생활에서도 항상 본래 마음을 떠나지 않고 살아가는 공부를 하고, 일상생활에서 가장 기본적인 공부 패턴을 제시하여 경계 속에서 삼학병진(三學竝進)의 취사 실행을 하며, 동시에 공부가 깊어질수록 누구나, 언제나, 어디서나 무시선·무처선의 공부를 할 수 있도록 한다.

In modern society there is a growing preference for studying the mind from an experiential or practical level, rather than from an academic or theoretical one. Although it is important to engage in ``Periodic Practice`` (Fixed-Term Training) by entering a professing training center and temporarily leaving behind one`s routine life, what is equally important is setting up a ``Regular Practice`` (Daily Training) or a ``Mind Practice in Daily Life,`` that integrates and is carried out in one`s life without abandoning one`s home or work environment. Won-Buddhism established a teaching based on the buddhadharma suitable for this era, lifestyle, and public. Sotaesan enacted the ``Dharma of Training`` in order to study the buddhadharma and apply it in one`s life regardless of whether one is ordained or lay. Among his teachings, Sotaesan taught the ``Practice of Checking Mindfulness and Unmindfulness`` (abbreviation. PMU) designed to directly study the mind when faced with ``Sensory Conditions (境界)`` in daily life. PMU follows three requirements: First is ``preparation practice,`` which means setting up in advance ``an article to do`` and ``an article not to do.`` Second is ``action practice,`` which means going on with one`s daily activities keeping in mind the pre-defined articles and ``making choices with sound thought.`` Third is ``reflection practice,`` which means investigating one`s level of study by accessing whether one was ``mindfulness`` (有念), if making choices with heedfulness or ``unmindfulness`` (無念), if making choices without heedfulness. These three points correspond with articles [1, 2, 6] of the ``Items of Heedfulness in Daily Applications`` in the section called ``The Method of Daily Training.`` Therefore, the PMU contains the basic pattern [or article 2.→article 1.→article 6. in ``Item of Heedfulness in Daily Applications``] of daily study. Furthermore, the scope of the study expands by repeating ``when to act`` and ``when to rest,`` finally connecting mind study with the teaching on ``Timeless Son (無時禪)·Placeless Son (無處禪).`` The PMU that carries out ``The Method to Assess Mindfulness or Unmindfulness`` was practiced most widely in small edification groups composed of ten people called Tan around 1925. However, ``The Method of Keeping a Dairy`` formally took effect around 1928, and since that time up until now ``The Method to Assess Mindfulness or Unmindfulness`` has been considered a more basic method than that of keeping a diary. However when the PMU is practiced at a deep level it takes on a completely new aspect. At the beginners level, the PMU depends on outside sensory conditions, but at the level of an adept, that practice depends on the inner state of the mind. So the scope of access greatly expands and the person at this level only studies how they are using their mind and body when in action or at rest without having to leave the original mind [or the self-nature of the void or calm and numinous awareness]. Therefore it becomes a living practice in which a person does not leave their original mind in daily life. PMU presents the most basic patterns in everyday life, making choices in action to progress the threefold study together, at the same time. And ultimately, anyone can do ``mind practice`` regardless of time or plac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