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70
18.97.9.170
close menu
Accredited
대학생의 지연행동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주관적 안녕감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Procrastination,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Subjective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강혜자 ( Hye Ja Kang )
담론201 vol. 15 iss. 1 67-92(26pages)
UCI I410-ECN-0102-2012-330-002858037

이 연구에서는 지연행동, 스트레스 대처방식, 자아존중감 및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들에게 지연행동, 대처방식, 자아존중감 및 주관적 안녕감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326명의 자료를 토대로 성차분석, 상관분석 및 매개효과 분석을 하였다. 결과를 보면, 지연행동, 문제해결중심 대처 및 사회적 지지추구 대처에서 성차가 유의하였다. 각 변인들 간의 단순상관을 분석한 결과, 지연행동과 회피적 대처 및 부정적 정서 간에 각각 정적상관이 유의하였고, 지연행동과 자아존중감, 문제해결중심 대처, 사회적지지 추구 대처, 긍정적 정서 및 삶의 만족 간에 각각 부적 상관이 유의하였다. 지연행동 및 대처방식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각 관계에 대해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아존중감의 부분매개 효과가 각각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주관적 안녕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시사와 추후 연구를 위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procrastination, coping strategies, self-esteem, and subjective well-being. To examine this, 326 college student-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s pertaining to the areas of procrastination, coping strategies, self-esteem,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analysis of mediating effects were conducted on the dat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1)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exes in procrastination, problem-solving coping, and social support seeking; (2)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rocrastination and avoidance, and between procrastination and negative emotion; (3)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following variable pairs: procrastination and self-esteem; procrastination and problem-solving coping; procrastination and social support seeking; procrastination and positive emotion; procrastination and satisfaction with life, respectively; (4)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s of procrastination between procrastina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and between coping strategies and subjective well-being, respectively.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cessities for correcting procrastination and using appropriate copying strategies to improve subjective well-being.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