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의 지혜 연구 기초를 마련하기 위하여 한국판 지혜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예비 척도 문항들을 수집하고,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거쳐 56개의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먼저 567명(M=27.52세)의 대학생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지혜 척도의 요인구조를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새로운 대학생 및 일반인 참가자 566명(M=27.84세)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본 척도 요인구조의 안정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전체 참가자 대상(N=1,133)으로 지혜 척도의 수렴 및 변별타당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한국판 지혜 척도는 다섯 개의 하위요인을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고, 하위요인들은 ``안목과 통찰``, ``정서조절``, ``조망수용``, ``경험의 통합``, ``관심과 포용``이었다. 그리고 본 지혜 척도는 만족할만한 신뢰도, 수렴 및 변별타당도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척도가 갖는 의의와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Korean Wisdom Scale and examine the validity of the scale. The Korean Wisdom Scale was developed and identified its validity by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he Korean Wisdom Scale consists of five factors, which are ``Outlook and Insight``, ``Adjustment of Emotion``, ``Perspective Taking``, ``Integration of Experience``, ``Concern and Comprehension``. Those five factors indicated the reasonable fit index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 addition, this scale identifi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such as satisfaction and meaning of life, satisfaction of relationship. On the other hand, it indicated a negative relation with psychological symptoms such as neurosis and clinging. Also, the scale was differentiated from Adult Self-transcendence Inventory. Therefo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is scale has a reliable criterion-related validity. Finally,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in relation with future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