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9
216.73.216.9
close menu
KCI 등재
아동의 유머스타일 척도 개발 및 타당화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hildren`s Humor Style Questionnaire
김주용 ( Joo Yong Kim ) , 이지연 ( Jee Yon Lee )
UCI I410-ECN-0102-2012-180-002875016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유머스타일을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고 이를 일반화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아동의 유머스타일 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국내외 유머스타일에 대한 연구와 측정 척도를 참고하여 척도의 배경이 되는 이론적 체계를 구성하고 유머스타일을 설명하는 문항을 작성하였다. 인천과 경기의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3~6학년 학생들에게 예비 검사와 본 검사를 실시하였다. 예비 연구에서는 문항 분석과 탐색적 요인 분석을 수행하였고, 본 연구에서는 확인적 요인 분석과 준거 관련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구인 타당도 검증을 위해 실시한 탐색적 요인 분석과 확인적 요인 분석 결과 관계적 유머스타일, 자기고양적 유머스타일, 공격적 유머스타일, 자기파괴적 유머스타일의 4요인, 22문항으로 구성된 아동의 유머스타일 척도를 구성하였다. 준거 관련 타당도는 유머스타일과 대인 관계 및 학교 적응과의 상관 분석과 구조 모형 검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아동의 유머스타일은 대인 관계, 학교 적응과 모두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아동의 유머스타일은 대인 관계와 학교 적응을 예측하는 선행 변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validate the scale of children`s humor style. Items in the scale were developed after intensive review of previous literature. Survey was implemented to 3rd through 6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at Incheon metropolitan city and Gyeonggi province. An item analysis and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actor structure of the scale. The results of the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scale consisted of 22 items and 4 humoristic factors (i.e., relational, self-serving, aggressive, and self-destructive humor).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employed to examine a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the scale. Results showed that the children`s humor style influenced interpersonal relations and school adjustment.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implications to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