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7
18.97.14.87
close menu
Accredited
가정빈곤 및 주양육자와의 놀이활동이 유아기 사회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Household Poverty, Parent-Child Interactive Play Activity, and Infant Sociability
이경혜 ( Kyung Hye Lee ) , 김정일 ( Jeong Il Kim )
UCI I410-ECN-0102-2012-370-002989200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사회성 형성에 대한 보다 근원적인 이해와 조기중재변인의 탐색을 위하여 유아기 사회성(S)은 가정빈곤(HP)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가정빈곤은 주양육자-아동 상호작용 놀이활동(IPA)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였을 때 어느 정도의 영향력을 가지며 완충될 수 있는가를 밝히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국가수준의 종단조사인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orean Child Youth Panel Survey, KCYPS)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만 3∼5세(생후 36개월부터 71개월 사이)에 해당하는 1151명의 유아와 주양육자(주로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가정빈곤(총가구소득, 가구형태), 주양육자-아동 놀이활동(상상놀이, 운동/신체활동놀이, 함께 노래부르기, 책읽어주며 놀기), 그리고 사회성이 측정되어졌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결과, 가정빈곤은 유아기 아동의 사회성 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주양육자-아동 상호작용 놀이활동을 통하여 사회성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This study addressed ways in which household poverty(HP) factors are associated with infant sociability(S) and how these relationships may be mediated by parent-infant interactive play activity(IPA). To better understand the developmental origins of infant sociability, and to identify targets for early preventive intervention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arent-infant interactive play activity to decrease the number of economically disadvantaged infant sociability. Data of the Korean Child Youth Panel Survey(KCYPS) were used in this survey of 1,151 families. Household poverty status, parent-infant interactive play activity, sociability for infant were administered when the infants were in 3, 4, 5 years old. Using structure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infant with sociability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parent-infant interactive play activity. Parent-infant interactive play activity is a mediator of the link(S) between household poverty and infant sociability. Thus, parent-infant interactive play activity acts to buffer the negative effect of povert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