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국민일반을 대상으로 도박행동의 수준을 변별하기 위하여 최초로 개발된 캐나다 문제도박 척도(CPGI: Canadian Problem Gambling Index)가 과연 그 목적에 부합하는가에 대한 논란을 교차수준적 다집단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CPGI에 대한 논란은 첫째, 문항구성이 기존의 척도들과 크게 다름이 없이 도박행동 수준이 높은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는 것이고, 둘째는 과연 실제 경험 자료에서 이 척도가 사회일반에 속하는 하위집단들에 걸쳐 차별적이지 않고 일관성 있게 기능하는지 여부에 대한 것이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도박행동의 고수준과 저수준이라는 장면 내 집단 간에는 측정의 틀, 단위, 원점, 및 요인분산의 동일성이 성립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남자 및 경제 하 집단이 여자 및 경제 상 집단 보다 높은 점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요인분산의 크기에서는 L장면의 분산이 .100이 안 되는 작은 크기인데 반해서 H장면의 요인분산들은 모두 .569 또는 .665으로 작게는 7배 크게는 20배가 넘는 차이를 보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심한 우측 편포와 바닥효과(floor effect) 때문으로 해석된다. 이상과 같은 해석을 염두에 두고 교차수준 분석 즉, 1층 수준의 집단이 L/H 장면 간에 일관성 있는지 차별적인지를 검증한 결과, 대체로 단위 차별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단위 동일성이 성립하는 일부 문항들도 원점 동일성 검증을 거의 통과하지 못했다. 단위 동일성이 다수 성립한 예외적인 경우에는 거의 대부분의 문항들에서 원점 차별성이 있었다. 따라서 거의 대부분의 문항들이 L/H 장면 간에 측정단위 또는 측정원점에서 차별적 기능을 하므로, CPGI척도를 L장면과 H 장면 간에 공통으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imed to address the controversy of whether or not the CPGI(Canadian Problem Gambling Index), which was developed to discriminate those in the general population with a gambling problem, accomplishes its stated purpose. The first controversy is that the items of the CPGI are not much different from existing scales, which are intended to discriminate people who have severe gambling problem. The second controversy is that the items of the CPGI are not appropriate for those people who have a less severe gambling problem or minor gambling problem. Quantitative evaluation through multi-level and multi-group analysis demonstrated configural invariance, metric invariance, scalar invariance, and invariance of factor variances. However, the factor variances of the low-level groups were less than .100 which is much smaller than the value (between .569 and .665) observed in the high-level groups. The distribution of scores seemed to be positively skewed with an apparent floor effect. When cross-level analyses were performed, metric invariance hardly held. Several items satisfying metric invariance did not show scalar invariance. Thus, CPGI is not appropriate to use for high and low level groups since most items of the CPGI showed differential functioning across the two groups.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study as well as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