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제주의 풍토와 물산을 노래한 칠언절구인 김종직의 <탁라가>에대한 이본 연구이다. 이를 통해 그 정본과 이본들의 계통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김종직의 <탁라가> 14수를 수록한 문헌들로는 크게 김종직의 작품들을 수집하여 간행한 점필재집류, 여러 문사의 시문을 초선하라는 왕명을 받고간행한 속동문선류, 제주 지지에 수록된 탐라지류, 저자들이 제주에 관리로 왔던 경험을 기록한 남사록류나 남사일록류, 일제강점기를 살면서 한 개인의 평생에 걸쳐 정리한 문학과 역사를 기술한 심재집류 등으로 나누어진다. 점필재집류에는 경진본, 기축본, 기유본, 기사본, 임진본, 정사본, 무인본 『점필재집』 등 7종이 있는데, 이본 간에는 글자의 변이가 이루어지고 있다. 속동문선류에는 을해자 초간본으로 추정되는 국립중앙도서관본, 필서체자 목판본의 규장각본, 경희출판사 영인본, 경원문화사 영인본 등 4종이 있는데, 국립중앙도서관본과 경원출판사본이 같은 계통이고, 규장각본과 경희출판사본이 같은 계통의 이본이다. 탐라지류에는 이원진의 『탐라지』, 이원조의 『탐라지초본』, 동경대학본 『탐라지』, 담수계의 『증보탐라지』 등 4종이 있는데, 이본 간에는 글자의 변이가 이루어지고 있다. 남사록에는 규장각본 『남사록』, 청음유집본 『남사록』 등 2종이 있는데, 후자는 전자를 재정리한 것이다. 남사일록류는 이증의 『남사일록』이 있는데, 남사록류 계통에 가까운 이본이다. 심재집류에는 김석익의 『심재집』이 있는데, 동경대학본 『탐라지』 계통의 이본이다. 이 중가장 정본에 가까운 이본은 『점필재집』으로 오자를 하나도 발견할 수 없을 정도로 완성도가 가장 높았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different versions of Takraga written by Kim Jong-jik, a quatrain with seven characters per line which expresses climate and products of Jeju. This study intended to know lineage of original version and different versions. Some documents listing 14 poems of Takraga are extant-Jeompiljae collections kind for works of Kim Jong-jik, Second Anthology of Korean Literature kind published by King`s order, Tamraji kind contained in Record of Jeju, Namsarok or Namsayilrok kind where experiences of officials stayed in Jeju were recorded, and Simjae collections kind where literature and history are recorded for lifetime by an author who lived in Japanese ruling period. Jeompiljae collections kind have 7 kinds of versions such as Gyeongjin version Jeompiljae collections, Gichuk, Giyu, Gisa, Yimjin, Jeongsa, and Muin. There are changes of letters focused on simplified letters between different versions. Second Anthology of Korean Literature kind has 4 kinds such as National Library of Korea version Second Anthology of Korean Literature assumed as first edition in Eulhae letter, Palace Library version of wood printing blocks in Pilseoche letter, photoprint version of Gyeonghee publishing company, photoprint version of Gyeongwon publishing company. Tamraji kind has 4 kinds such as Tamraji by Lee Won-jin , Tamraji in first edition by Lee Won-jo, Tamraji in Tokyo university version, and Tamraji by Damsugea. There are partial changes of letters between different versions. Namsarok kind has two kinds such as Namsarok in Palace Library version, Namsarok in Cheongeumyujib version-the latter was made by arranging the former again. Namsayilrok kind has Namsayilrok by Lee jeung-this is a different version near Namsarok kind. Simjae collections kind has Simjae collections by Kim Seok-ik and this is a different version of Tamraji in Tokyo university version. Among them, Jeompiljae collections is a different version most near original version-this version shows high completeness so that misprint even one cannot be fou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