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TEXT분석을 통한 가상공간에 대한 연구로써, ``夢遊桃園圖``를 선정하여, 작품과 함께 기록되어 있는 안평대군의 ``기문``을 바탕으로 재해석하고, 이를 현대의 가상현실 기술과의 접목한 문화콘텐츠적 재현에 관한 것이다. Text 분석의 과정에서, 몽유도원도에 생략된 공간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체적인 도원의 구조가 夢遊桃源圖와 기문의 구도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안견이 회화의 평면적 표현에서 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회화의 좌측면은 정면으로 표현하고, 우측면은 측면에서 보는 구도로 표현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를 가상공간에 표현함으로서, 회화가 가지는 한계성을 극복하는 대안으로 제안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전통을 그대로 계승하는 것이 아닌 발전된 현대의 미디어 환경과 접목하여, 새로운 문화콘텐츠 생산의 가능성을 보여줄 수 있음을 성과로 얻었다.
There are many things in common between visual communication design and rhetoric because they both deliver meanings and seek for the method for more effective communication. Today, according to the field of rhetoric is expanded, rhetoric has new analysis and it is applied to many other fields such as advertisement, cinema, music and various field of design. The basic design education is very important aspect for the students who study design because students should learn the method from the class to solve the design problems for the effective way of communication through the logical thinking process. Rhetoricthinking process and the methodology of rhetoric expression can help the students to solve the design problem and their idea developing process. Therefore, the study of rhetoric visual thinking and rhetoric expression is significantly necessary area for the effective design education in visual communication design field. The study aims at the research of design education process through the rhetoric with the calend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