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까지 과다한 스트레스로 고통 받고 있는 대구지하철 화재 사망자 유가족과 향후에 발생될 수 있는 대형사고 사망자 유가족들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하여 적절한 심리상담 및 치료가 시행 될 수 있도록 대구지하철 화재 사망자 유가족을 중심으로 그들이 경험하는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과 심리적 성격특성을 MMPI를 통해서 알아보고 불안장애 및 기분장애의 진단으로 치료중인 환자 집단의 MMPI 결과를 통하여 타당도척도 및 임상척도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구지하철 화재 사망자 유가족 12명에 대하여 MMPI를 시행하고 정신과에서 급성 스트레스 장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및 공황장애, 일반불안장애 등 불안장애의 진단으로 치료중인 18명의 환자들과 우울장애 및 기분부전장애 등 기분장애로 치료중인 14명의 환자들에 대한 MMPI 결과를 연구 자료로 삼았다. 각각 얻어진 자료를 통해 유가족 집단과 불안장애 및 기분장애 집단을 일원변량분석으로 비교하고 중다비교를 통하여 집단간 차이를 조사하였으며 유의미한 신뢰구간에 대한 차이를 조사하였다. 사후분석으로 Bonferroni 검증을 하였다. 통계는 SPSS14.0으로 수행하였다. 유가족 집단은 F, Hs, D, Hy, Pd, Pa, Pt, Sc, Si척도가 불안장애 및 기분장애 집단보다 상대적으로 상승되어 있다. 유가족 집단과 불안장애 집단의 여성의 경우는 오하라 V형태를 보이고 있다. Sc척도에서 유가족 집단과 기분장애 집단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Mf척도에서는 불안장애집단과 기분장애 집단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5), Si척도에서는 유가족 집단과 불안장애 집단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MMPI 타당도척도에서 유가족 집단이 불안장애 및 기분장애 집단의 F척도 T점수보다 높다는 것은 증상의 심각성이 다소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MMPI 임상척도에서 유가족 집단이 불안장애 및 기분장애 집단보다 Hs, D, Hy(1-2-3) 및 Pa, Pt, Sc(6-7-8)척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동반상승 되었다는 것은 불안장애, 우울장애, 또는 이를 혼합하는 신체화장애가 다소 나타나고 비관적이며 감정변화가 심하고 내성능력이 부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피해망상이 나타나며 부적절한 정서를 보이고 타인에 대한 의심이나 분노감이 많으며 사회적으로 철수되어 있을 가능성도 있다. Si척도에서 사회적으로 내향적이고 수줍어하며 현실 회피적인 특성이 나타남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프로파일의 특성을 비교하면 유가족 집단과 불안장애 집단이 거의 유사한 프로파일의 형태를 보이고 있고 유가족 집단의 T점수가 불안장애 및 기분장애 집단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보아 유가족 집단이 불안장애 및 기분장애 집단보다 더 많은 스트레스를 호소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구지하철 화재 사망자 유가족 및 향후 발생될 수 있는 대형사고 유가족들의 신속하고 체계적인 심리상담 및 치료, 질병관리를 시행하고 건강한 심리사회적 재적응을 도와주는 상담 및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며 이를 위한 사회적 지원망을 확대할 체계적인 네트워크 구축에 국가와 지역사회가 장기적인 계획을 갖고 나서야 할 실정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n appropriate measure of psychological counselling and remedy for the bereaved families of subway conflagration in Daegu who are suffering excessive stress, as well as potential bereaved families who can suffe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from future calamities. In order to meet such purpose, this study uses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MMPI) to analyze the symptom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experienced by the bereaved families of subway conflagration in Daegu, as well as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ir personalities. In addition, the results of MMPI that analyze patient groups treated for anxiety disorders and mood disorders were used to see the difference in validity scale and clinical scale. MMPI was made on 12 bereaved families of subway conflagration in Daegu, 18 patients who are being treated for anxiety disorders such as acute stress disorde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anic disorder and general anxiety disorder, and 14 patients who are being treated for mood disorder such as depressive disorder and dysthymic disorder. Through the results obtained, the bereaved families, the group with anxiety disorders and the group with mood disorders were compared using One-way ANOVA and multiple comparisons to see the differences among groups and confidence regions. Bonferroni verification was used for post hoc analysis, while SPSS14.0 for statistics. Compared to the groups with anxiety and mood disorders, the bereaved families showed increased rates of F, Hs, D, Hy, Pd, Pa, Pt, Sc, and Si scales. The groups of bereaved families and women with anxiety disorders both showed O`hara V shape. In Sc scale, the bereaved families and the group with mood disorder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5). In Mf scale, the group with anxiety disorders and the group with mood disorder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inally, in Si scale, the bereaved families and the group with anxiety disorder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5). In the validity scale of MMPI, the bereaved families showed an higher F scale T value than the groups with anxiety and mood disorders, revealing that the seriousness of their symptoms is high. In the clinical scale of MMPI, the bereaved families showed a relatively higher scales of Hs, D, Hy(1-2-3) and Pa, Pt, Sc(6-7-8) than the groups with anxiety and mood disorders. Moreover, the scales above were simultaneously increased for the bereaved families, showing that they are suffering anxiety disorder, mood disorder, or mixed somatization disorder. The bereaved families might even suffer from pessimism, abrupt change of emotion, lack of tolerance, delusion of persecution, inappropriate emotion, mistrust or anger towards others, and alienation from the society. Especially, Si scale showed that the bereaved families are socially introverted and shy, and trying to evade from the reality. Characteristics of the profiles between the bereaved families and the groups with anxiety disorder were shown very similar. As the T value of the bereaved families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e groups with anxiety and mood disorder, it is considered that the bereaved families are suffering more stress than the groups with anxiety and mood disorders.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a counselling and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provide a swift and systemized remedy and management for the bereaved families of Subway conflagration in Daegu, as well as potential bereaved families of future calamities. The government and local community should develop such programs and expand a systemic support network with a long-term pl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