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70
18.97.9.170
close menu
Candidate
임상 ; 미숙아의 경피중심정맥 도관 시 마취 연고가 통증 완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opical Anesthetics to Reduce Pain in Preterm Infants During Percutaneous Cental Venous Catheterization (PCVC)
신화진 ( Hwa Jin Shin ) , 박인숙 ( In Sook Park ) , 신윤정 ( Youn Jeong Shin ) , 김승연 ( Seung Yeon Kim )
PERINATOLOGY vol. 22 iss. 4 303-309(7pages)
UCI I410-ECN-0102-2012-510-002607616

목적 : 본 연구는 미숙아에게 경피중심정맥 도관술 시 발생되는 치료적 처치의 통증에 국소 마취 연고(EMLA)가 미숙아의 통증을 경감시키는데 효과가 있는지 증명하고자 한다. 방법 : 2010년 대전을지대학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미숙아를 대상으로 총 정맥 영양법의 장기간 적용이 예상되는 재태기간 36주 미만이고 출생 시 체중 2,000 g 이하의 영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에 동의한 미숙아 중 실험군 9명에게는 경피중심정맥 도관 처치 40분전에 EMLA크림을 도포하고 대조군 9명에게는 위약을 도포하였다. 중심정맥 천자 전, 천자 시 15초, 천자 후 30초로 각각 대상자의 모니터상 기록된 심박동수와 산소포화도를 기록하고 대상자의 통증 행동 반응을 삽입 종료 후 2분간 녹화하였다. 결과 : 실험군은 통증 행동 반응의 정도가 유의하게 낮았으며(P=0.005). 경피중심정맥 도관 삽입 종료 후 2분동안 통증행동 반응에서도 낮은 통증 점수를 보였다(P=0.001). 통증점수의 세부 항목별로 보면 행동 상태 반응 점수에서 실험군이 통증 점수가 낮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7). 심박동수 증가에서도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통증점수가 낮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33). 결론 : 이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의 적은 표본 수에도 불구하고 실험군은 경피중심정맥 도관 삽입 시 대조군에 비하여 낮은 통증 정도를 보였다. 저자들은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치료적 처치 시 통증 완화를 위해 EMLA 사용을 제안해 보는 바이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effects of topical anesthetics (EMLA) to control pain in preterm infants during invasive procedure (percutaneous central venous catheterization, PCVC). Methods : A total of 18 preterm infants of birth weight <2,000 g and gestational age <36 weeks born at EulJi University Hospital, at Daejeon in 2010 were randomly included in this study. EMLA was applied in nine preterm infants 40 minutes before starting PCVC and placebo was applied in another nine preterm infants. Based on PIPP (preterm infant pain profile), we evaluated their heart rate, oxygen saturation before, 15 seconds during and 30 seconds after procedure. Behavioral responses were also recorded for 2 minutes after procedure. Results :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less behavioral response during procedure ( P=0.005) and 2 min after procedure ( P=0.001). Also, experimental group showed less increase in heart rate ( P=0.033) and reduction of behavioral state ( P=0.017). Conclusion : Despite limitation of small size in this study, experimental group showed lower pain score compared with placebo control group during catheterization. In neonatal care unit (NICU), we recommend the use of topical anesthetics such as EMLA to control pain during invasive procedur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