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정부 출범 l년간의 경제정책은 대단히 실망스러운 것이었다. 경제위기론으로 무장한 재계의 이데올로기적 공세에 크게 위축되었으며, 정책목표 자체에 내재한 충돌과 경제팀 구성의 실패로 인해 정책기조는 급속도로 단기화·보수화되었다. 그 배경에는 정치개혁을 위해 경제개혁은 4·15 총선 이후로 미룬 참여정부의 정치적 선택이 자리잡고 있다. 그러나 총선 이후 정치지형이 참여정부에 유리한 방향으로 변한다고 할지라도, 지난 l년간 참여정부가 걸어온 보수화의 여파는 경제정책의 정체성 회복에 커다란 장애물로 작용할 것이다. 노무현 대통령이 경제적으로 성공하기 위해서는 재벌과 관료집단에 넘겨준 경제정책의 주도권을 되찾아와야 한다. 이틀 위해서는 단기간에 가시적 성과를 기록 하고자 하는 조급증을 버려야 한다. 눈앞의 경제적 성과를 위해 개혁 원칙을 훼손 함으로써 결국 임기 말에 경기위기를 자초하고 차기정부에 그 부담을 고스란히 떠넘긴 문민정부와 국민의 정부의 전철, 즉 개혁 후퇴와 불안정 심화의 악순환적 실패를 되풀이해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