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0
18.97.14.80
close menu
공적연금 연계 현황과 연계제도 활성화 방안
The connection status of Public Pension and Activation Strategies
강성호 ( Sung Ho Kang )
ITBI 리뷰 vol. 17 iss. 2 7-37(31pages)
UCI I410-ECN-0102-2012-320-002934674

현행 공적연금 연계제도 특성과 현황 분석을 통해 볼 때(연령요인, 제도특성, 인식수준 등을 고려할 때) 현행 연계제도에 대한 평가는 던기적 관점에서가 아닌 장기적 관점에서 판단할 필요가 있음을 제기하고 있다. 왜냐하면, 연계대상자의 90%가 20, 30대에 집중되고, 직역연금의 경우 연금과 일시금의 선택가능으로 연계 강제성이 떨어지며, 연계연금 지급시기가 국민연금 혹은 수급시점이 늦은 제도에 맞추고 있어 연계제도 시행초기에는 그 실효성이 약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다만, 이러한 현실에도 불구하고 중장기적으로 연계제도는 연금사각지대 완화(`70년 1.6% 증가)와 노후소득수준(최대 소득대체율 31.4% 증가)을 제고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따라 연계제도를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으며, 그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In view of the current public pension system characteristics and linkage status, we suggested that the current linkage system should be evaluated from long-term perspective rather than from short-one. In other words, the linkage system doesn`t work efficiently in early stage. Because 90% of targets are in their 20s to 30s, Occupational Pension beneficiaries can select their pension or lump sum money, and the linkage system works in accordance with National Pension`s paid time. However, despite of these, we found that its system reduced the exclusion from the public pension (in `70 year, numbers of beneficiaries was increased by 1.6 percent) and increased retirement income (up to 31.4% in the replacement rate) in the mid-and long term. Accordingly, we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invigorate the linkage system.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