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KCI 등재
지각부담이 정서처리에 미치는 영향: ERP 연구
Effects of Perceptual Load on Emotional Processing: an ERP study
박태진 ( Tae Jin Park ) , 김정희 ( Jung Hee Kim )
UCI I410-ECN-0102-2012-180-002955019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정서처리의 자동성 및 정서와 주의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지각부담이 정서처리에 미치는 효과를 ERP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정서적 그림자극 위에 6개 글자들을 함께 제시하고서 표적글자에 대한 지각판단(go/no-go 탐지과제) 그리고 그림자극에 대한 정서판단(정서변별과제)을 순차적으로 요구하였다(분할주의패러다임). 이때 표적글자는 다른 방해글자들과 시각적 특성상 유사하거나(고부담) 상이하였으며(저부담), 정서적 그림은 부정적이거나 중립적이었다. 표적자극이 제시되지 않은 no-go시행의 ERP 자료만을 분석했는데, 그림자극의 개시 후 초기(90-140ms)와 후기(700-1000ms)의 평균진폭을 분석한 결과, 부정그림과 중립그림 간 차이(정서가효과)가 초기와 후기 양자에서 관찰되었다. 특히 정서가와 지각부담의 상호작용효과가 초기에는 관찰되지 않았고 후기에만 관찰되었는데, 고부담조건에서는 정서가효과가 관찰되지 않은 반면 저부담조건에서는 부정그림이 중립그림보다 더 큰 정적 진폭을 유발하였다. 이는 정서처리가 초기에는 지각부담과 관련된 주의자원의 영향을 받지 않고 비교적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며 후기에는 지각부담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We examined how the emotional processing is influenced by attentional modulation such as the level of perceptual load using event-related potentials method. On each trial, six letters were presented with a picture of IAPS in the background. Perceptual load was manipulated by varying the number of distractors that were similar to the target (no similar distractor in low load condition, five or six similar distractors in high load condition), and the valence of each picture was unpleasant or neutral. In low and high load conditions, participants first performed the letter detection go/no-go task and then performed the emotional discrimination task about a previous picture (divided attention paradigm). Only ERP data of non-target no-go trial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Participants responded more quickly and more accurately at low-load condition than at high-load condition, regardless of emotional valence of a background picture. ERP results showed emotion effect both in early (90-140ms) and late (700-1000ms) windows, but showed interaction effect of emotion and perceptual load only in late window.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erceptual load affect the late emotional processing, not the early emotional processing.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