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75
18.97.9.175
close menu
Accredited
도덕과의 정당성 및 정체성 연구
A Study on the Necessity and Identity of Moral Education as an Independent Subject
정창우 ( Chang Woo Jeong )
倫理硏究 vol. 82 239-288(50pages)
UCI I410-ECN-0102-2012-190-002902330

2009개정 교육과정으로 인해 독립교과로서 도덕과의 위상이 심각하게 훼손당한 시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도덕과의 위상 제고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도덕과의 필요성과 정체성을 재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도덕과는 타 교과에 비해 ``교육``의 본질과 가장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고, 개인의 행복추구와 생활적응, 사회화 및 국가 발전과 같은 외재적 가치를 지닌다는 점을 교과 정당화 차원에서 강조하였다. 또한 교과 정체성 차원에서 볼 때, 도덕과 학습으로서 ``도덕 공부``는 도덕적 실천, 도덕적 지식학습, 도덕적 탐구, 도덕적 성찰을 포함하되, 도덕적 성찰이 세공부 방법을 하나로 꿰어주는 끈이자 중심점으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보았다. 또한 도덕과의 배경 학문들을 하나의 ``체계``로 꿰어주는 실은 특정 학문이 아니라, ``우리나라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의 도덕성 발달 내지 인격적 성장``이라는 교과 목적 및 교과 목표이어야 하고, 이를 위해 윤리학, 정치철학, 도덕 심리학 등의 여러 배경 학문들이 상호 소통한다는 식으로 배경 학문 간 관계를 재규정해야 한다고 보았다. 다음으로, 사회과와의 차별화를 위해 도덕과에서는 정치적·사회적·문화적 제도와 상황적 맥락(context)을 다루면서 인간 존엄성, 인간 사이의 만남을 통한 이해와 공감, 그리고 사회정의의 실현이라는 관점을 토대로 삼아야 하며, 모든 사람으로 하여금 자유와 자율을 지닌 도덕적 행위주체가 될 수 있도록 기회와 힘을 부여해 주는 데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끝으로, 행(行)에서 지(知)로, 관례적 도덕에서 합리적·성찰적 도덕으로 강조점을 옮기면서 도덕교육을 추구하고, 도덕 심리학적 근거를 토대로 통합적 도덕성을 과학적·체계적·의도적으로 추구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는 것이 도덕 교과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caused a severe damage to the status of Moral Education as an independent subject, this article attempts to validate the necessity and identity of Moral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its academic and educational status. In this context, this paper emphasizes that the purpose of Moral Education is deeply rooted in the essence of education that addresses the intrinsic value. In addition, this paper puts an importance emphasis on the extrinsic value as well because the purpose of Moral Education as an independent subject is meaningfully related with happiness and life adjustment, socialization and national development. With regard to the identity of Moral Education I suggest that learning Moral Education include moral action, moral knowledge, moral inquiry, and moral introspection, and that moral introspection plays a central role in making other components interconnected. I also argue that "moral and character development" should be considered as the primary goal of Moral Education, with which it can build its theoretical grounds based on the interconnectedness and intersection among moral philosophy, moral psychology, political philosophy, etc. I also suggest that what makes Moral Education different from social studies is the fact that Moral Education pursues human dignity, mutual understanding and empathy and social justice in the context of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arenas. Finally, this article concludes that the identity of Moral Education can be characterized by moving its foci from ``action`` toward ``cognition,`` from ``daily life morality`` toward ``moral inquiry and introspection,`` and from ``the virtue approach`` toward ``the principle approach.``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