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아시아 지역의 물류환경은 각 국의 문화와 산업기반이 상이하기 때문에 각 국의 산업현장에서 사용하는 파렛트 규격과 성능이 다르다. 특히 한·중·일 교역 량이 세계 GDP의 16.8%, 세계 교역량의 15%(`08년 기준)로 지속적 증가 추세에 있지만 역내 무역에서 파렛트를 공동사용과 일관수송용으로 사용할 수 없어 물류 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이는데 장애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본 한·중·일 리터너블 파렛트 표준 및 인증시스템 제정의 목적은 아시아 역내, 특히 한·중·일간의 효율적인 통합물류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것으로서 3국의 공동 표준과 인증제를 제정하여 리터너블 파렛트의 품질을 보증하고 반복 사용하여 관세를 면제함으로 써 한·중·일 물류비를 절감하고 무역을 증진하기 위한 것이다.
Asian countries, currently, have different standards for pallets and performance requirements because Asian`s industries have been developed with different backgrounds of culture, custom, and logistic infrastructures. The trade volume as of 2008 among Korea, China, and Japan amounts 16.8% of the global GDP and 15 % of the global trade and continue to be gradually increased. However, the efficiency of logistic performances and productivities have not been improved due to the different size and quality of pallets which can not be used for a pallet pool system or through transit in this region. The objective of the joint standard and cross certification system regarding returnable pallets among Korea, China, and Japan is to establish the integrated logistics system and to enhance logistic service and efficiency in this region. This joint standard can also promote the trade volumes among three countries by facilitating returnable of pallets with customs exemption and ensuring quality of palle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