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상품이란 인간에게 물질적 가치뿐만 아니라, 감성적·문화적 욕구역시 충족시키는 폭넓은 의미의 상품 전반을 말한다. 즉, 경제적 가치와 정신적 가치 속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상품이야말로 진정한 문화상품이라고 할 수 있다. 문화관광 기념품은 각 지역만이 갖고 있는 특성과 요소들이 내재되어 있다. 이는 문화관광 기념품이 지역의 이미지를 표출하는 특별한 기능을 통해 사회 문화적으로 기호적 역할을 하는 동시에 지역을 상징하고 홍보하는 등 다목적 개념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개발되어 지고 있는 문화관광 상품 브랜드는 그 지역만이 지니고 있는 특성을 갖춘 상품들이 부족한 실정으로 이를 위해 지역이 갖고 있는 특성을 발굴하고 이를 활용하여 지역발전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지역의 특성 중 어떠한 특성을 발굴, 활용하는 것인지가 지역 활성화의 성패를 좌우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문화관광 상품 브랜드개발에 필요한 디자인 전개와 핵심요소, 그리고 삼척도계지역의 폐자원을 활용한 문화관광 상품 브랜드 개발에 대한 활용방법과 대안을 제시함으로서 유·무형적문화 요소들과 지역의 특성과 자원을 연계하여 차별화된 문화관광 상품 브랜드 개발에 대한 안을 제시 하고자 한다.
Culture products mean a general commodity with wide meaning that can fulfil la material value as well as an emotional and cultural demand. Cultural & tourism souvenirs include character -istics and core elements of relevant region or area. The yalso include multi-purpose perception which is to play as role of social and cultural symbol and promotional mean for relevant region at the same time by one of their special functions of representing the general image of the region. However, cultural & tourism souvenirs brand, which have been developed so far, do not sufficiently rep resent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relevant region. So this research is to discover unique characteristics of relevant region and to utilize it for regional development. Thus, this research is to present the practical measures to create and develop differentiated cultural tourism souvenirs brand in connection with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element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resources by suggesting design road map, its core components, applications, and utilization manners of wasted resources in the region of Samche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