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 진흥정책은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정책이다. 국내 디자인 진흥정책은 정부 주도하에 오랜 기간 동안 디자인정책을 실행하고 있으며, 이에 본 논문은 정부정책에 부합하는 디자인 전문인력 양성 방안을 수립하여 효과적인 인력 양성과 활용 및 정책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과 범위는 문헌연구, 인터넷 검색, 전문가 면담 등을 통하여 시대별 디자인 정책의 주요내용 및 특성을 살펴본 후, 국내 디자인 산업의 전반적인 환경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이를 근거로 향후 디자인 업계의 발전을 위한 디자인 전문인력 양성의 필요성에 관한 당위성을 제안하였다. 이후 국내 디자인 정책과 전문인력 양성의 사례 및, 해외 디자인 선진국을 대상으로 성공적인 디자인 진흥 정책과 전문인력 양성 사례를 소개하였다. 또한, 국내·외 디자인 정책 및 전문인력 양성사례의 비교를 통하여 향후 국내 디자인 정책에 따른 전문인력 양성 방안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상의 조사를 기반으로 국내 디자인 정책에 따른 효율적인 디자인 전문인력양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향후 본 논문의 제안을 구체적으로 실행하는 정책을 수렴한 전문인력양성 방안이 실시되어 글로벌 전문 디자이너 육성을 통한 국내 디자인 산업의 기반이 확고히 정착되기를 기대한다.
Design promotion policy is an important one that strengthens a nation`s competitive edge and improves people`s lives. When it comes to design promotion policy in Korea, design policies led by the government have been being carried out for a long period of time. In this sense, this thesis is aimed at coming up with design specialist-training measures that befit the government policy and seeking for plans to train and utilize specialists effectively. Though data search, internet search and expert consultation, major contents and features of design policies in each period were looked into. Moreover, overall circumstances of Korea`s design industry and problems for them were analyzed. Furthermore, the necessity for training design specialists in order to promote the improvement of the design industry in Korea was proposed. Then, domestic design policies and training programs for design specialists were introduced along with successful cases of policies and programs in other advanced nations in design. Also, through comparing the two cases, proposals to improve the specialist training policies based on design policy of Korea were presented.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hopes that measures for specialist-training program that reflects the proposals and solutions suggested in this thesis will be implemented and therefore foundations of Korea`s design industry will be firmly set up through global design specialist-training progra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