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00년 1월 1일부터 2010년 12월 31일까지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거시경제상태가 자본구조의 조정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였다. 기간 스프레드, 신용 스프레드, GDP 성장률과 같은 거시경제변수를 사용하여, 거시경제상태가 좋은 기간과 나쁜 기간으로 구분한다. 거시경제상태가 좋은 기간은 기간 스프레드가 크거나, 신용 스프레드가 작거나, GDP 성장률이 높은 기간을 말하고, 나쁜 기간은 그 반대의 경우를 말한다. 그리고 자본시장 접근성이나 신용평점 수준과 같은 재무적 제약변수를 사용하여 표본기업을 재무적 비제약기업과 제약기업으로 구분한다. 자본구조의 조정속도는 부분조정모형을 사용하여 측정하며, 주요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본구조의 조정속도는 거시경제상태가 좋을 때가 나쁠 때보다 더 빠르다. 즉, 기간 스프레드가 클수록, 신용 스프레드가 작을수록, 그리고 GDP 성장률이 높을수록 거시경제상태는 좋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간 동안에 자본구조의 조정속도는 더 빨라진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는 기업의 재무적 제약 여부와 관계 없이 성립한다. 즉, 자본시장 접근성이나 신용평점 수준과 같은 재무적 제약변수와 관계 없이, 자본구조의 조정속도는 거시경제상태가 좋을 때가 나쁠 때보다 더 빠르다. 따라서 전통적인 자본구조이론에서 제시된 기업특성변수뿐만 아니라 기간 스프레드, 신용 스프레드, GDP 성장률과 같은 거시경제변수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는 거시경제상태도 자본구조의 조정속도에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거시경제상태는 자본시장 접근성이나 신용평점 수준과 같은 재무적 제약변수와 관계 없이 자본구조의 조정속도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기업 경영자들은 기업특성변수뿐만 아니라 거시경제상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자본구조를 신속하게 조정함으로써 기업가치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In this paper, we analyse empirically the effects of macroeconomic conditions on the adjustment speed of capital structure of firms listed on Korea Exchange. Macroeconomic conditions are classified into good states and bad ones on the basis of macroeconomic variables such as term spread, credit spread, and GDP growth rate. Good states are defined as higher term spread, lower credit spread, and higher GDP growth rate, and bad states are defined as the opposite sides of those macroeconomic variables. Moreover, firms are classified into the financially unconstrained firms and the financially constrained ones on the basis of financial constraints variables such as capital market accessibility and credit rating score level.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Using the partial adjustment capital structure models to estimate the effects of macroeconomic conditions on the adjustment speed of capital structure toward target leverage, we find evidence that firms adjust their leverage faster toward target leverage in good macroeconomic states than in bad ones. This holds whether or not firms are subject to financial constraints. So to speak, regardless of firms` capital market accessibility and credit rating score level, they exhibit a faster adjustment speed of capital structure in good macroeconomic states compared to bad o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