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71
18.97.9.171
close menu
Accredited
조선 초기 의궤편찬(儀軌編纂)의 배경과 의의
A Study on The Background and meaning of The Publication of "Eui gwe(Ritual Protocol Manuals)" after Joseon Founding
신명호 ( Mung Ho Sin )
UCI I410-ECN-0102-2012-910-002940729

이 논문은 朝鮮王朝 儀軌의 편찬 배경과 의의를 고찰하였다. 儀軌는 儀와 軌가 합쳐진 용어로서, 중국의 원시 유교에서 의궤는 ``예법의 실천에 부수되는 威儀의 모범이 될 만한 기왕의 사례``라는 용어로 이용되곤 했다. 의궤는 중국 불교에서 선승들이 지켜야 할 법도로서의 淸規를 지칭하기도 하였다. 이런 의미가 확장되어 불교에서는 儀軌가 책명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중국의 불교 특히 선불교 계통에서 불교 의례와 관련된 儀文, 儀軌 등이 남북조 시대에 책으로 출현하였고 이것이 늦어도 고려시대에 한국으로 전래되었다. 조선건국 후, 정도전으로 대표되는 건국주체 세력들은 고려시대의 불교적 국가의례를 유교 예제에 입각해 대대적으로 개편해나가는 과정에서 유교예제를 시행하는 데 필요한 구체적인 威儀 또는 절차들을 정비했다. 새로 정비된 유교식 威儀 또는 절차는 책으로 작성되었고 ``規式``, ``儀文`` ``儀制`` 등으로 표현되었지만, 태조 당대에 이미 의궤로도 표현되었다. 뿐만 아니라 국가행사의 보고서도 의궤라고 하였다. 이렇게 국가적 유교 의례서뿐만 아니라 국가행사의 보고서까지도 의궤라는 용어를 사용함으로써 정도전으로 대표되는 조선건국주체세력들은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하였다. 첫째, 의궤라는 용어는 불교에 앞서 유교경전에서 이미 사용되었다. 조선건국주체세력들은 새로 정비된 국가적 유교의례의 책명을 의궤로 함으로써 유교의례의 회복 또는 유교의례의 확립을 부각시킬 수 있었다. 둘째, 조선건국주체 세력들이 극복하고자 했던 불교 또는 도교에서도 의례집의 명칭이 의궤였기에 고려시대의 의례집은 불교 의궤로 대표되었다. 그러나 조선건국 직후부터 국가적 유교의례는 물론 국가행사의 보고서까지도 의궤로 함으로써 조선시대의 의례는 점차 유교의례로 대표되었고 의례집 역시 유교 의궤로 대표되었다. 결국 조선건국 직후의 의궤 편찬은 불교적 국가의례를 대체하는 유교적 국가의례의 등장 및 명실상부한 유교국가의 출현을 상징했다.

The word of "Eui gwe(Ritual Protocol Manuals)" is combined word of "Eui" and "Gwe". in chinese confucianism, The word of "Eui" means solemn manners which are attached to ceremony. and The word of "Gwe" means precedent cases which could be standards or models. so The word of "Eui gwe(Ritual Protocol Manuals)" basically means solemn manners which could be standard ceremony. the other hand, in chinese buddhism, The word of "Eui gwe(Ritual Protocol Manuals)" means basic regulations which monks should obey in buddhist temple. but later in chinese buddhism, The word of "Eui gwe(Ritual Protocol Manuals)" was used as title for buddhist ceremony books. at the latest in koryo dynasty, chinese buddhist ceremony books, "Eui gwe(Ritual Protocol Manuals)", were introduced to korea. at that time, korea was buddhist society. so chinese buddhist ceremony books, "Eui gwe(Ritual Protocol Manuals)" were popular in korea society. in the late 14th century, korean confucian literati, sinjinsadaebe, tried to reform korean society in the base of neo confucianism. after Joseon Founding, korean confucian literati modified a lot of confucian ceremonies in order to substitute buddhist ceremonies. at first, they titled confucian ceremonies as "gyu sik(regulation manuals)", "Eui mun(ceremonial manuals)", and "Eui je(ceremonial manuals)". but in the end, they titled confucian ceremonies as "Eui gwe(Ritual Protocol Manuals)". they also titled the reports on national occasions as "Eui gwe(Ritual Protocol Manuals)". by titling confucian ceremonies and the reports on national occasions as "Eui gwe(Ritual Protocol Manuals)", korean confucian literati tried to obtain following effects at least. first, they tried to stand out that not buddhist ceremony but confucian ceremony is only official in Joseon. second, they tried to stand out that joseon is a confucian state which should follow confucian principle in everything.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