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91
18.97.14.91
close menu
Candidate
유학에서의 믿음과 수양
Believing and Cultivation in Confucianism
이광호 ( Kwang Ho Lee )
UCI I410-ECN-0102-2012-220-002955154

고대 중국에서는 하늘의 ``상제``가 하늘과 땅의 모든 것을 다스린다고 믿었다. ``상제``는 인간을 창조하며 인간에게 선한 본성을 주었다. 상제는 선한 본성을 실현하는 자를 왕과 스승으로 명하였다. 왕이 상제를 대신하여 세상을 화평하게 다스릴 때는 유학은 없었다 동주시대 이후 고대의 이상정치가 무너졌다. 공자는 이 시대의 기록을 집대성하여 육경을 편찬하여 유학이라는 학문을 정립하였다. 공자는『주역』의 사상을 재해석한「十翼」을 통하여 태극과 도를 진리로 하는 새로운 자연관을 확립하였다. 공자 이전의 유학에서는 상제에 대한 믿음이 강조되었으나, 「十翼」이후에는 하늘이 부여한 인간의 본성이 강조된다. 공자는 인간성의 완성과 실현을 중심으로 유학사상을 학문으로 정립하였다. 학문으로서의 유학이 성립된 이후 인간성을 완성하기 위한 자기수양과 인간성의 사회적 실천이라는 치인은 유학 사상의 두 축을 이루게 된다.

In ancient China all believed that ``the Heavenly God(上帝)`` rules the heaven and earth. The Heavenly God assigned good human nature to mankind when he created. The Heavenly God ordered the men who fulfilled good the human nature as king and teacher. When Saint Kings and Wise Ministers ruled good the world instead of ``The Heavenly God``, there was no Confucianism. Since the idealistic politics disappeared from Eastern Chou, Confucius arranged all the records of the ancient kindoms and confiled ``Six Classics``. He established Confucianism as learning and studying. By ``Ten-Wings about The Book of Change``, he reinterpreted The Book of Change and he created new vision of nature and human. The Way(道)and Great Ultimate were the key words. Previously The Heavenly God was emphasized, but after ``Ten-Wings`` The Human Nature was emphasized. he recreated the Confucianism as learning and teaching of human naure. The fullfillment of human nature and social realization of human nature became two pivots of Confucianism.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