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반절구조분석법과 통계를 근거로 『篆隸萬象名義』를 연구하였다. 『篆隸萬象名義』는 일본의 고승 空海가 기원전 9세기에 원본 『玉篇』을 근거로 편찬한 자서이다. 원본 『玉篇』을 비교적 잘 보존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重紐 문제는 고음 연구에서 반드시 해결해야할 난제이다. 여기에서 논쟁이 되어 온 문제는 바로 설치음의 분류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篆隸萬象名義』의 重紐音 가운데 설치음이 명확하게 두 부류로 나뉘는 것을 확인했다. 즉, 章組, 精組, 日母, 以母와 端組는 모두 重紐四等으로 분류되고, 來母, 知組, 云母와 莊組는 重紐三等으로 분류되었다. 위와 같은 결론은 陸志韋와 의견이 비슷하나 그는 章組, 日母, 以母와 精組는 重紐四等으로 莊組는 重紐三等으로 분류하고 來母와 知組는 중간에 속한다고 하였다. 본 논문의 결론이 陸志韋와 다른 점은 다음과 같다. 1. 『篆隸萬象名義』에 章組(日母를 포함함)는 A류에 더 가깝다.(王三에서 A류는 B류의 4배이나, 『篆隸萬象名義』에서는 9배가 넘는다.) 知組는 B류에 더 가깝다.(王三에서 B류는 A류의 3배이나 『篆隸萬象名義』에서는 11배가 넘는다.) 2. 본 논문을 통하여 云母자가 見組, 影曉와 다르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들 반절자들은 重紐三等이나 四等으로 見三이나 見四에 들어가면 안된다. 따라서 통계에서 이를을 단독으로 처리했다. 이러한 방법론을 통하여 반절하자와 성모 및 重紐의 관계를 더욱 명확하게 밝혀낼 수 있었다.
本文用反切結構分析法和統計數據?究了『篆隸萬象名義』(以下簡稱『名義』)『名義』是日本高僧空海在公元9世紀時據原本『玉篇』編寫的一部字典,較好地保存了原本『玉篇』的面貌?重紐問題是古音?究中必須面對的難題,其中一個有爭議的問題便是重紐韻中舌齒音的歸屬問題?本文發現『名義』中重紐韻的舌齒音明顯分爲兩類:章組? 精組? 日母? 以母和端組都應該歸屬於重紐四等;而來母? 知組? 云母和莊組則應該歸屬於重紐三等? 這個結論與陸志韋先生相同,他認爲章組? 日母? 以母和精組與重紐四等爲一類,莊組與重紐三等爲一類,而來母和知組則介於中間?本文的結論與陸志韋先生在大同中仍有小異,主要表現爲:1?『名義』一書中,章組(含日母)更傾向於A類(王三中A類是B類的4倍,而『名義』中A類則爲B類的9倍多),知組更傾向於B類(王三中B類是A類的3倍,而『名義』中B類則爲A類的11倍還要多);2? 我們覺得云母字與見組和影曉不同,?所切的字不是重紐三等或四等的字,不當放入見三或見四之中,因此在統計時單獨列出來,這樣更容易看出反切下字的聲母與重紐的關係,也更容易?掘出傳統音韻學?究方法不能顯現出來的問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