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론기반관점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아이디어는, 개념이 지식의 구성성분인 동시에 세계에 대한 개개인의 이론(지식체계)에 의해 조직된다고 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론기반관점에서의 개념학습을 사회과 수업에서 실현해 보고자, ``입지``개념을 중심으로 이론기반관점에서의 개념학습에서 사회과 개념이 초등학생들에게 어떤 양상으로 이해되고 변화되는지 서술하고 해석해 보았다. 사회과 개념학습에 대한 이론기반 관점은 관련된 사회과 개념 및 지식과의 관계를 중시하므로 개별적 또는 단편적이지 않고 특정 사회적 맥락에서 개념의 직접적인 사용을 강조하므로 실제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이러한 이론기반관점의 성격을 바탕으로 살펴본 바에 따르면, 연구대상 학생들은 특정 대상의 속성을 분리하여 올바른 범주에 포함시키며 개념의 정의나 예를 암기하는 데 제한되었던 사회과 개념학습에서 벗어나 일상생활과 밀접한 문제 해결상황에서 개념을 사용하면서 이론을 구성해 나아가고 그러한 과정에서 개념 변화가 일어나며 결국 정확한 사회과 개념을 획득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The fundamental idea of the theory-based view is that a concept is a constituent of knowledge and is organized by an individual`s theory(body of knowledge). This study aimed to realize concept learning in social studies classes from a theory-based view and interpreted the understanding and changing patterns of their social studies concepts in concept learning from the theory-based view focusing on the concept of ``location``. The abovementioned theory-based view regarding concept learning in social studies can be considered practical as it emphasizes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studies concepts and knowledge and highlights the personal application of the concepts in a particular social context rather than remaining individual or fragmentary.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eory-based view, the previous concept learning, through which students were asked to memorize the definitions and examples of concepts by separating the attributes of a particular object and then assigning them to applicable categories, are expected to take a leap to a new form of concept learning in social studies, through which students are allowed to construct theories by applying concepts in daily problem-solving situations and ultimately acquire accurate concepts of social studies through conceptual chan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