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연구의 최근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지난 10년간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Curriculum Inquiry, 교육과정연구에 발표된 논문 799편을 연구영역과 연구방법론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영역에 대한 분석결과, 북미에서는 교육과정 이론 탐색, 교사의 교육과정 전문성, 교육과정 개발 및 설계 등 의 연구영역에 대한 관심이 높은 반면, 우리나라에서는 교육과정 개발 및 설계, 교육과정 이론, 교사의 교육과정 전문성 등의 영역에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북미 연구동향과 비교했을 때 우리나라 교육과정 연구동향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었다. 첫째, 교육과정 개발 및 설계에 대한 관심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에서는 국가주도 하에 교육과정이 개발되면서 교육과정 학자들이 비중있게 참여하면서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개발 연구가 주류를 이루어온 것으로 보인다. 둘째, 북미에서와 마찬가지로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들어 교사의 교육과정 전문성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는 정책적으로 교사들의 교육과정 결정권이 확대되고 교육과정 재구성이 강조되면서 교사들의 교육과정 전문성에 대한 이론적, 실천적 연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셋째, 북미에서는 탈실증주의 담론에 대한 연구 비중이 높은 반면,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탈실증주의 담론이 활성화되었다고 보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탈실증주의 담론의 교육과정 연구는 인문학, 예술, 사회이론 등에 대한 상당한 이해를 요구하는데, 간학문적, 다학문적 연구에 익숙하지 않은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연구풍토를 고려해 볼 때, 우리나라에서는 탈실증주의 담론의 교육과정 연구는 수용, 확산되기에는 어려웠던 것으로 보인다. 연구방법론적 측면에서, 북미의 경우 질적연구가 압도적으로 우세한 반면, 우리나라에서는 문헌/이론연구가 가장 많았다. 북미와 우리나라가 공통적으로 연구방법론의 활용이 제한적임을 보여주는데, 이는 교육과정 연구방법론에 대한 학문적 축적과 공유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a total of 799 research articles from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N=305) and Curriculum Inquiry(N=129) from the north America, and Korean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N=365) in Korea.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research areas`` and ``method.`` Content analysis was applied and each articles in the journals were coded to one of six research areas and one of three methods. According to the content analysis, JCS and CI have been most focused on curriculum theorizing, followed by teacher professionalism in curriculum, and then curriculum development. In Korea, however, curriculum development, curriculum theorizing, and teacher professionalism in curriculum have been relatively popular research topics in curriculum research. The finding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e several characteristics of curriculum research in Korea: the prevalence of research related to curriculum development, low research in a post-positivistic approach to curriculum, and the recent increases of teacher professionalism in curriculum. Regarding the research method in Korea, several issues were raised as: overuses of literature review method and low use of qualitative methods compared to JSC and CI. It suggested that unbalanced uses of methods should be improved furt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