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청주시내의 주거지역, 상업지역, 녹지지역을 대상으로 16개 지점을 선정하여 지점별로 CEI와 USI를 이용하여 가로 청소상태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CEI분석결과 주거지역에서는 아파트지역이 단독주택지역보다 CEI 값이 높았고 상업지역과 녹지지역은 지점별로 차이를 나타냈다. USI 분석 결과에서도 아파트 지역이 높은 값을 나타내 청소상태가 양호함을 알 수 있었다. CEI와 USI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청소상태가 아주 좋은 단계에 해당하는 지역은 없었고, 좋은 단계가 3지점으로 청소상태 관리의 지표를 제시해 줄 수 있었다.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figure out the cleaning status of the street by using CEI(Community Effect Index) and USI(User Satisfaction Index) for 16 selected sites at residential, commercial, and green zones in Cheongju City. The result of CEI analysis shows that the apartment area has better CEI value than detached house area in residential zone. The result of commercial and green zone varies from point to point. The USI analysis also shows that the apartment area has better result which means it has good cleaning status. The correlation analysis result of CEI and USI shows that there are no sites with excellent cleaning status, 8 sites with good or fair cleaning status, 5 sites with poor cleaning status, and 3 sites with unacceptable cleaning st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