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1
18.97.14.81
close menu
Accredited
다양한 탄수화물 함유 배지 사용에 따른 자일리톨 감성 및 내성 Streptococcus mutans의 독력 비교
Cariogenic traits of xylitol-resistant and xylitol-sensitive Streptococcus mutans exposed to various dietary sugars다양한 탄수화물 함유 배지 사용에 따른 자일리톨 감성 및 내성 Streptococcus mutans의 독력 비교
정선영 ( Sun Young Chung ) , 이영은 ( Young Eun Lee ) , 안상헌 ( Sang Hun Ahn ) , 김혜영 ( Hye Young Kim ) , 최연희 ( Youn Hee Choi ) , 송근배 ( Keun Bae Song )
UCI I410-ECN-0102-2012-510-002573933

연구목적. Streptococcus mutans ( S. mutans)는 치아 우식의 중요한 병인 중 하나로, S. mutans가 자일리톨에 장기간 노출되었을때 자일리톨에 대한 감수성을 잃고 자일리톨에 의한 성장 억제를 보이지 않는 자일리톨 내성균주가 형성된다고 보고된 바 있다. 본 연구는 자일리톨 내성균주와 자일리톨 감성균주가 다양한 탄수화물 조건에서 배양되었을 때의 독력 인자 발현 양상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S. mutans KCTC3065를 포도당이 포함된 TYE 배지에 1% 자일리톨을 처리하여 자일리톨 내성균주를 형성한 후, 자일리톨 감성균주와 함께 포도당 단독 및 포도당에 자당, 과당, 엿당이 각각 포함된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S. mutans의 독력과 관련이 있는 성장과 산생성, 글루칸 합성 관련 유전자 발현 및 세포외 다당류 합성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자일리톨 내성규주는 감성균주와 비교하여 pH의 차이 없이 최종 성장, 글루칸 합성 관련 유전자 발현 및 세포외 다당류 합성이 모두 저하된 양상을 나타내었다. 탄수화물 종류별 특성을 살펴보면, 자일리톨 감성균주와 내성균주 모두 포도당과 비교하여 포도당과 엿당이 혼합된 배지에서 최종 성장이 증가한 반면, gtfB와 gtfD의 발현은 감소하였다. 또한 포도당과자당 그리고 포도당과 과당이 혼합된 배지에서 최종 성장이 감소한 반면, gtfB와 gtfD의 발현은 증가하였다. 그러나 감성균주와 내성균주 모두 배양 조건과 관계없이 산생성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투과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포도당과 엿당이 혼합된 배지에서 특히 자일리톨 내성균주의 세포외 다당류 합성이 저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자일리톨 내성균주는 감성균주에 비해 우식원성이 저하되어 있으며, 탄수화물 종류에 따라 자일리톨 내성균주와 감성균주의 독력인자가 다르게 발현되었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