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새로 발견한 필사본 「신증구운루」의 자료적 성격과 활용가치를 논의한 글이다. 「구운루」는 청대 중국인이 「구운몽」을 대폭 늘려 개찬한 35회 장편소설로, 10책본의 존재가 문헌기록을 통해 알려졌지만, 그동안 실물이 나타나지 않아 그 실체를 알수 없었다. 70년대에 영남대 소장 9책본 「九雲記?가 발굴 소개되었으나, "九雲樓"라는 제명과 다르고 권책 수도 일치하지 않아 그 정체는 물론이고 국적문제 등을 둘러싸고 국내외 학계에서 첨예한 논쟁들이 있어 왔다. 그런 가운데 본고는 국내에서 「구운루」 10책본 중 殘存6권6책 필사본을 발견함으로써, 그동안의 주요 쟁점들을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첫째, 이 10책본 「구운루」는 중국 刻本을 저본으로 그대로 模寫하듯 필사한 책이다. 그러나 단지 모든 글자를 똑같이 옮기는 데 주력한 전사본이 아니라, 조선에서 번각본을 인출하기 위해 작업한 일종의 교감본이다. 또한 이 현전 필사본은 당시 교열자가 직접 남긴 原稿本이다. 둘째, 이 자료가 지닌 여러 서지적 특징과 공식들은, 중국에서 「구운루」목판본이 간행되었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저본인 중국판본의 복사판에 가까우므로, 그 존재 자체로 일실된 刊本이 나타난 것에 준하는 자료적 위상을 지닌다. 중국 刻本은 현재 未見이므로, 이 필사본 「구운루」는 그 원작을 대신할 수 있는 세계 유일의 귀중본 자료이다. 셋째, 영남대 소장 「구운기?는 중국 刻本을 저본으로 삼은 것이 아니라, 이 조선교감 필사본 「구운루」를 직계승하는 가운데 또다시 도처에 添刪을 가한 일종의 2차 개수본이다. 이 필사본 「구운루」에서 중국간본을 저본으로 1차 수정교열이 가해졌고, 다시 「구운기」에서 이 필사본 「구운루」를 저본으로 2차 개수가 이루어졌다. 넷째, 국적을 꼭 따지자면 「구운루」는 중국인이 漢語로 개찬한 중국소설이다. 국내소장 필사본 「구운루?와 「구운기?는 중국본 원작에서 약간 달라진 두 이본이다.
This thesis discusses the nature and usefulness of newly found manuscript of Shinjeunggoowoonroo(新增九雲樓) as data. Goowoonroo is 35 part full-length novel made by a Chinese in the Ching Dynasty by altering Kim Man-jung`s Guwoonmong(九雲夢), and the existence of its ``10-volume edition`` is known through records but its original book was not found, so there has been no way of knowing its truth. The manuscripts of remaining 6 volumes 6 books out of the 10-volume Goowoonroo were found in Korea, so major controversial issues appeared in the history of researches have been able to be resolved at once. First, this 10-volume book Goowoonroo is the one made from copying the Chinese original block book in hand but the one, in which efforts were not made to copy the original exactly to the letter, but a kind of proof book to derive rewritten copy. Second, the various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formalities of these data show that block book of Goowoonroo had been published in China. But since the Chinese block book has not been found, this manuscript Goowoonroo is the world`s only one important rare book data that can substitute for the original book. Third, Goowoongi(九雲記) owned by Yeongnam University in Korea is not the book copied from the Chinese original block book but a kind of a secondary altered version with corrections scattered here and there, directly succeeding to Joseon manuscript Goowoonroo. Fourth, in terms of nationality, Goowoonroo is a Chinese novel written in the Chinese language by a Chinese, and Goowoonroo manuscript found in Korea and Goowoongi are two different books slightly deviated from the original Chinese block 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