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30
216.73.216.130
close menu
KCI 등재
연구 논문 : 혁명과 협상의 정치학 마르셀 브로타스의 "현대미술관: 독수리 분과" 프로젝트
The Politics of Revolution and Negotiation Marcel Broodthaers`s Museum of Modern Art: Department of Eagles Project
이필 ( Phil Lee )
미학예술학연구 34권 355-382(28pages)
DOI 10.15727/JASA.34.0.12
UCI I410-ECN-0102-2012-600-002841704

본고는 벨기에의 개념미술 작가 마르셀 브로타스(1924-1976)의 작품 "현대미술관: 독수리 분과(1968-72)"를 연구대상으로 한다. 이 작품은 4년여 간에 걸쳐 진행된 여러 시리즈의 전시들로 이루어진 개념미술 프로젝트로서 기존의 미술관 시스템을 차용해서 구상한 다소 허구적인 개념의 미술관이다. 미술관의 핵심 요소인 미술관 건물과 컬렉션이 존재하지 않는 대신, 복제성이 있는 엽서나 기존의 서적, 레디메이드 오브제 등을 주로 이용하여 전시를 구성하고, 각각의 전시를 작가의 자택, 타 미술관, 해변가, 도큐멘타 등 여러 장소에서 열었다는 점 등에서 브로타스의 미술관은 기존의 미술관과 전시형태와는 상당히 다른 개념의 미술관이다. 브로타스의 작품에 대한 대표적인 국내의 선행 연구인 강태희의 「마르셀 브로타스의 미술관」은 미술관 담론을 개관하면서 광범위한 맥락 속에서 브로타스라는 작가와 그의 "현대미술관"이 갖는 의미를 논하고 있고, 김영호의 「오브제의 기호학적 해석」은 현대미술에서 오브제의 의미를 다방면으로 분석하면서 브로타스의 작품 전반에서 오브제의 개념을 분석하는 맥락에서 "현대미술관" 프로젝트를 매우 간략하게 소개하고 있다. 이들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본고는 광범위한 미술관 담론과 오브제의 개념에 대한 논의를 배제하고, 온전히 브로타스의 "현대 미술관: 독수리분과" 프로젝트만을 논의의 대상으로 한다. 특히 브로타스의 아파트에서 열린 오프닝 전시인 "현대미술관: 19세기 섹션"에서 브로타스가 자신의 미술관을 소개하고자 고안하여 아파트 창문에 걸어놓은 미술관 간판 "DAVID·INGRES·WIERTZ·COURBET"를 집중적으로 분석한다. 필자는 브로타스가 루브르라는 전형적인 미술관이 제시한 프랑스 미술사의 계보를 차용하면서 들라크르와가 있을 법한 자리에 벨기에 작가 뷔르츠를 삽입한 점에 주목하면서, 이 미술관 간판과 실내에 전시된 여러 장의 엽서와의 관계를 분석하고 브로타스의 미술관을 프랑스와 벨기에의 문화적 정치적 관계와 예술가의 혁명과 협상이 교차하는 여러 층위에서 읽어낸다. 필자는 브로타스의 작품이 유럽 미술관과 미술사의 문화적 제국주의와 식민주의, 벨기에인으로서 그리고 예술가로서의 브로타스의 개인적 정체성, 미술사, 넓게는 문화를 구축하는 권력을 지닌 미술관의 진실이 무엇인지, 그리고 미술관에 주어진 그 권위가 정당한 것인지에 대한 문제제기를 하고 있다고 해석한다. 필자는 더 나아가 브로타스가 "현대미술관: 독수리 분과"를 통해 예술가로서 문화를 지배할 수 있는 권력을 성취하고자 하는 욕망을 추구하였다고 주장한다. 예술가의 권력은 "혁명"과 "협상"의 공존으로 성취될 수 있는데, "혁명"이라는 개념이 일차적으로 기존의 미술관 제도의 문제를 드러냄으로써 그 기반을 흔드는데 유용하다면, "협상"은 문화와 역사를 구축할 수 있는 권력을 예술가에게 가져다준다. 이러한 측면에서 뷔르츠와 브로타스는 동일시 될 수 있다. 필자는 "혁명"과 "협상"의 균형을 통해 궁극적으로 문화를 입안하는 예술가의 권력을 성취하고자 한 브로타스가, 제도를 비판하고 나섰던 미술가들이 미술관과 주요 전시 공간을 결과적으로 장악하게 된 현 사태를 이미 예견하고 있었던 한발 앞선 전략가였다고 평가한다.

This essay investigates the Belgian artist Marcel Broodthaers`s attempt to deconstruct the museum as a cultural frame by largely focusing on the Nineteenth-century Section, his inaugural exhibition of the Museum of Modern Art: Department of Eagles project (1968-1972). Broodthaers appropriated the existing museum system to invent his own conceptual art museum. This mock museum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his own personal and national identity, the broader history of the European museum, and the artist`s power to shape culture. Specifically, this essay analyzes layers of meanings implicit in the Museum signboard where Broodthaers inserted a Belgian artist Antoine Wiertz into the line of French master painters, thus forming a permutated line of masters which runs David-Ingres-Wiertz-Courbet. Broodthaers`s ingenious construction of the signboard and its relation to his postcards collection for his fictitious museum suggests the idea of revolution in hiswork, central for his inquiry about the authority of the institution of the museum. However, the essay claims that Broodthaers critique was not a mere call for revolution. The multiple layers of his work can only be understood as a revolution followed by negotiation. The idea of revolution and its relation to the authority of the institution then further lead to a consideration of Broodthaers`s concerns about the changing role of the artist in a changing culture. While Broodthaers undermined the canonical chronology of French art by injecting Wiertz alongside David-Ingres-Courbet, Broothaers nevertheless affirmed the existence of the Wiertz Museum and sought to use institutional structure to claim the artist`s power in shaping culture. This essay claims that anticipating recent critical efforts to move beyond the critique of art institutions, Broodthaers`s subversion of canonical institutional authority co-existed with his desire to negotiate institutional authorit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