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공동체 형성과 활성화를 위한 기본적 요소는 정부의 역할과 주민참여정책 활성화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지역공동체의 활성화를 촉발하는 인적 및 경제적 주요자원이 이미 중앙집중적 속성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므로 중앙정부가 지역공동체에 대한 권한의 분산, 적극적인 정치경제적 지원과 허용을 하여야만 지역공동체의 활성화가 가능하다. 주민참여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한 위원회, 공청회, 여론조사 등 각종의 정책과 제도는 정부운영과 정책결정의 민주적 운영이라는 기본적 가치를 훼손하는 행태를 막기 위하여 세부적 절차의 개선, 특히 공직윤리로서 민주행정의 가치가 공직자에게 각인되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중장기적으로 주민의 지방자치에 대한 의식 및 자발적 참여의지의 제고와 함께 주민참여가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실천으로 옮겨질 수 있도록 정부와 주민의 의사소통 및 긴밀한 네트워크가 요구된다.
Since in 1995 though the self-governing system was operated by popular election, the popular administrative participation was not realized a based on regional community. The issue of administrative participation of the popular is human organization of the citizens representation, the problem of unprepared institution, the problem of perceptions, and difference perception between the public service and the population. I examine carefully the problem of practical use of committee, public forum, and survey in the means of administrative participation of the populations. And I show you some alternative ideas based upon preceding study. The key issue is democratic, practical procedures and personnel representation cross-section of the whole society participation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