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원고에서는 합병인수거래(M&A)에서 인수자가 당면할 수 있는 주요 이슈 및 고려사항에 대해 비상장기업 인수에서의 통상적 인수계약서 내용을 중심으로 고찰해 보았다. 본 원고는 우선 예비실사, 인수구조결정 등이 필요한 예비단계 및 비밀유지계약, 인수일정 논의, 실사 및 본 계약의 체결이 이루어지는 단계에 걸쳐 통상적인 인수거래의 진행과정에 대해 개괄하고 통상적 인수계약서를 주요 항목별로 그 내용과 주요 협상 이슈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본 원고의 주요내용을 이루는 인수계약서의 검토는 통상적 인수계약서를 각 조항별로 검토하고 관련 주요 이슈를 논의한 바, 다음의 내용들이 주로 검토되고 논의되었다: - 거래구조 및 인수가격 결정 및 이의 사후조정 - 통상적인 진술보장의 내용 및 그 주요역할(실사의 일부, 인수대금 납입의 선결조건, 손실보전(indemnification)의 근거) - 진술보장에 있어서의 실사공개목록(disclosure schedule)의 역할 및 중요성 - 중대한 부정적 영향/ 중대한 부정적 변화(material adverse effect/material adverse change)의 역할 및 협상 - 확약사항의 역할 및 주요 이슈 - 인수대금 납입의 선결조건항목(closing conditions)에서의 주요 이슈 - 손실보전(indemnification) 항목의 내용 및 통상적인 존속기간, 손실보전액의 한도(cap) 및 손실보전액 합산(basket) 등에 관련된 이슈 - 계약해지(termination) 및 관련 해지비용(break-up fee, reverse break-up fee)에 연관된 이슈 본 원고는 상기의 내용에 대해 인수자 입장에서 비상장기업 인수의 경우를 중심으로 주요 이슈별로 검토, 논의하고 통상적인 협상쟁점 및 합의내용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원고의 내용은 이러한 이슈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이며, 실제 각 인수합병에서는 거래와 관련된 특유사항 등을 고려하여 거래를 진행하고 인수계약 협상을 하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