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는 다양한 요괴가 존재하는데 그 중에서도 요괴의 대표로 꼽을 수 있는 것이「오니」(鬼)이다. 일본의요괴 「오니」는 전설이나 설화, 다양한 문학작품을 통해서 일본인에게 무섭고 강한 존재로 인식되어 왔다. 그리고 이러한 인식의 영향으로 언어표현 속에서도 무섭고 무자비하고 냉정하고 냉혹한 존재, 강하고 강건하고 용맹한 존재의 비유로서 사용되어져 왔으며, 신과 같은 만능의 존재, 어떠한 일에 혼을 담아서 열중하는 달인의 상징으로도 사용되어지고 있다. 일본의「오니」에 대응하는 한국의 요괴로 흔히「도깨비」를 언급한다. 하지만 일본의「오니」와 한국의「도깨비」는 전설이나 설화 속의 이미지에서 공통점을 거의 찾을 수가 없다. 사실 한국의「도깨비」는 하나의 정형화된 형상을 갖고 있지 않았는데, 일본이 한국을 통치하던 시기에 한국의 초등학교 교과서나 동화의 삽화 속에「도깨비」의 형상으로 일본의「오니」를 그려 넣음으로써「도깨비」와「오니」는 시각적이미지로서 공통점을 갖게 된다. 하지만 전설이나 설화 속에서의「도깨비」의 이미지에는 변화가 없었기 때문에 현대 언어표현 속에서도「오니」와「도깨비」가 가지는 이미지의 공통점은 찾기 어렵다. 언어표현 속에서 일본의「오니」와 이미지상 대조를 이룰 수 있는 한국의 요괴표현으로「귀신」(鬼神)에 관련된 표현을 들 수 있다. 한국의「귀신」은 사람이 죽어서 육체를 떠나 생긴 영혼, 따라서 인간 세계와 사후(死後) 세계를 자유롭게 오갈 수 있는 존재로서 인식되어 왔다. 그리고 한국의 전설이나 설화 속에 등장하는「귀신」의 이미지의 영향으로 인해서 인간이 죽어서 생긴 영혼 중에서도 특히 원한을 갖고 있는 영혼으로서의 이미지가 강하다. 따라서 언어표현 속에서도 무섭고 피하고 싶은 존재로 표현된다. 그리고 신과 같이 무한한 존재로서의 이미지에 의해서 인간의 능력을 초월하는 초능력적인 힘을 가진 존재로서 비유되기도 한다.. 이렇듯 외국어의 관용표현이나 비유표현과 같은 언어표현을 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표현 속에 등장하는 존재에 대한 문화적 이해, 그리고 그 문화에 영향을 받아서 표현을 사용하고 있는 사람들의 사고방식에 대한 이해가 반드시 동반되어야 한다. 본고의 고찰대상인「오니」에 관련된 일본어표현을 한국인 학습자에게 교육함에 있어서 표현에 대한 바른 이해를 위해서는 일본인에게 있어서「오니」가 어떠한 존재인지에 대한 교육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학습과정을 통해서 한국인 학습자들이 적합한 상황에 「오니」에 관련된 표현을 구사할 수 있게 되리라 생각된다. 또한 표현의 배경에 대한 학습이 함께 이루어짐으로써 비로소 바른 한국어 대응표현을 찾을 수 있고, 이는 정확한 일한 혹은 한일 번역의 문제와도 직결되는 문제라고 생각된다.
日本には多樣な妖怪が存在し、その中でも日本の妖怪の代表といえば「鬼」が上げられるだろう。「鬼」は日本の傳說や說話、文學作品の中でのイメ―ジに影響され、主として恐くて强い存在として認識されてきた。そしてこのような認識によって言語表現の中でも恐さ·無慈悲·冷酷、强さ·頑健·勇猛を象徵し、萬能、達人などの比喩としても用いられる。日本の「鬼」と視覺的に共通のイメ―ジを持つ韓國妖怪「トッケビ」(도깨비)は、傳說や說話などのイメ―ジからみて共通點があまりなく、言語表現の中でも殆んど異なるイメ―ジで用いられている。言語表現の中でのイメ―ジからみて、日本の「鬼」と共通のイメ―ジを持つ韓國妖怪は「クィ―シン」(귀신·鬼神)である。韓國の「「クィ―シン」は人が死んで身體から離れた死者の魂のことをさし、從って人間の世界と死後の世界を自由に行き來できる存在として認識されてきた。また韓國の傳說や說話に登場する「クィ―シン」のイメ―ジに影響され、死靈の中でも特に恨みを持って死んだ魂というイメ―ジが强く、言語表現の中でも恐ろしく避けたい存在を比喩し、また普通の人間の能力を超える、超能力を持つものの比喩としてよく用いられる。 外國語の言語表現を敎育するにあたって、文化上の背景知識が伴わなければ、その言語に對する正しい理解は難しいと思われる。轉じて、ある言語表現を正しく的確に使いこなすためには、言語表現の背景知識に關する敎育が伴われる必要があり、このような敎育によって、その狀況にふさわしい自然な日本語を表現し、適切な日·韓飜驛、韓·日飜驛も可能であると考えられ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