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기업은 회계기준에 따라 손익계산서상에 주당손익과 희석주당이익을 의무적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이들 회계정보는 재무제표에 표시되는 유일한 재무비율이다. 희석주당이익이 주당이익과 다르다는 것은 해당 기업이 주식선택권, 전환증권, 신주인수권부사채와 같은 잠재적보통주를 보유하고 있음을 의미하고, 이는 미래에 주당이익에 대한 희석효과가 발생함을 뜻한다. 따라서 희석주당이익은 주당이익이 제공하지 않는 잠재적보통주의 희석효과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담고 있다. 본 연구는 합리적인 투자자는 희석효과가 예상되는 기업에 대해서는 더 낮은 가치를 부여한다는 가설을 설정하고, 국내상장기업을 표본으로 하여 희석주당이익에 나타난 잠재적보통주의 희석효과가 주가-이익, 주식수익률-이익 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가설이 예측하는 것과 같이 잠재적보통주의 희석효과가 높은 기업일수록 주가-이익, 주식수익률-이익 관계에서의 이익반응계수는 더 낮았고, 이러한 결과는 이익반응계수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변수를 통제한 후에도 유지되었다. 본 논문의 결과는 주식시장의 투자자들이 희석주당이익에 나타난 잠재적보통주의 희석효과를 주가에 반영시키고 있음을 의미한다.
Listed companies are required to present earnings per share (EPS) and diluted earnings per share (DEPS) on the face of income statements as the sole financial ratio. DEPS measures a firm`s EPS as if potential common stock, such as stock options, convertible securities, and bonds with warrants, would be converted maximally into common stock. That DEPS does not equal BEPS indicates that the firm has potential common stock, which will generate dilution effects on EPS in the future. Consequently, DEPS conveys incremental information beyond earnings per share (EPS) regarding the dilution effects of potential common stock.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whether the dilution effects disclosed in DEPS are reflected in the stock market, by analyzing the effects of dilution on price-earnings and return-earnings relations, using a sample of Korean listed companies for the period 1999-2007. Empirical evidence documents that firms with greater dilution effects have lower price-earnings and return-earnings coefficients. This result is also robust to the inclusion of control variables used in the previous research. Consequently, this paper provides evidence that investors in the stock market incorporate the dilution effects of potential common stock into their share prices, regarding prospective dilution effects as cost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