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자기자본비용 추정치(implied cost of equity)에 관한 실증 연구들을 종합하고, 국내 기업들의 자기자본비용을 추정하여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주가가 기업의 본질가치를 적절하게 반영하고 있고 재무분석가의 예측치가 미래이익을 정확하게 예측하고 있다는 엄격한 가정하에, 주가와 재무분석가들의 이익예측치에 기반한 가치평가모형을 통하여 자기자본비용을 역으로 추정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소개된 네 가지의 추정모형을 이용하여 한국주식시장에 상장된 기업들의 자기자본비용을 추정하고, 주가 및 재무분석가 예측치에 관한 엄격한 가정들을 완화해봄으로써 이러한 가정들이 자기자본비용 추정치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2000년부터 2005년의 표본기간 동안에 유가증권거래소 상장법인과 코스닥 등록법인의 자료를 사용하여 자기자본비용을 추정한 결과, 국내기업들의 자기자본비용은 약 14.8%-22.5%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자기자본비용 추정치에서 무위험이자율을 차감한 자기자본 위험프리미엄은 약 9.7%-17.3%으로 파악되었다. 자기자본비용 추정치들은 재무분석가 예측활동의 여러 속성들과 주가 형성과정의 효율성 정도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추가분석을 통해 이들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재무분석가들의 예측속성과 자기자본 위험프리미엄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실적치에 비하여 예측치가 낙관적일수록, 재무분석가 예측치의 분산이 클수록, 그리고 재무분석가의 수가 적을수록 자기자본 위험프리미엄이 높게 추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보가 주식가격에 얼마나 빨리 반영되는지를 간접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수정주식가격 개념을 도입하여 주식시장의 효율성 정도가 자기자 본 위험프리미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주식시장이 비효율적으로 나타난 일부 연도에서 자기자본 위험프리미엄이 큰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ynthesize the empirical research regarding the estimation of the implied cost of equity and to provide the specific level of the cost of equity for Korean business practice. It attempts to estimate the cost of equity in the Korean stock market by reverse engineering, which deduces a firm`s cost of equity capital from the current stock price and from analyst forecasts. During the 2000 to 2005 period, the resulting estimates range from 14.8% (RCT) to 22.5% (RGM), and these estimates are highly correlated, thus supporting the applicability of the model to Korean firms. Equity risk premia, which are defined here as the costs of equity less the risk-free rates, range from 9.7% (RPCT) to 17.3% (RPGM). Further analysis provides evidence that certain analyst forecast properties have an impact on the estimates. Finally, this paper examines the sensitivity of the implied risk premium to the speed of incorporating information into the stock price and finds that price informativeness substantially affects the implied risk premi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