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회계기준은 경상이익과 특별손익을 구분하도록 함으로써, 특별손익은 미래 지속성이 없는 일시적 손익(transitory earnings)인 반면 경상이익을 구성하는 손익항목들은 모두 지속적 손익인 것으로 암묵적 가정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표적 영업외손익 항목들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 손익이 지속적 또는 일시적 손익인가의 문제를 실증분석한다. 실증분석의 대상이 되는 영업외손익은 지속적 손익 후보로서 순이자비용, 지분법평가손익, 임대료, 배당금수익이고, 일시적 손익 후보로서는 유가증권평가손익, 유가증권처분손익, 외환차손익, 외화환산손익, 사채상환손익, 고정자산처분손익, 파생상품거래손익이다. 이러한 일시적 손익 후보들은 대부분 시장의 ``가격변동``에 따라 발생하는 손익들이다. 1992-2001년의 비금융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순이자비용 등의 지속적 손익 후보들은 모두 유의한 지속계수를 갖고 있는 반면에 일시적 손익 후보들인 위 손익항목들은 대부분 특별손익처럼 미래 지속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주가관련성 여부에 대한 검증결과도 지속성 검증결과와 유사하다. 특별손익과 위의 일시적 손익 후보들은 모두 주가-장부가치 프리미엄에 대해 유의한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들은 특별손익은 물론, 상당수의 영업외손익 항목들이 ``일시적 손익``임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므로 ``미래 이익예측``의 관점에서 볼 때 그러한 손익항목들은 사실상 특별손익과 다를 바 없으며, 따라서 경상이익과 특별손익을 구분해야 할 근거를 찾기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즉, 손익계산서에서 ``현재와 같이`` 경상이익과 특별손익을 구분하는 것은 미래 이익예측에 오히려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일부 투자자들의 경우 경상이익이 지속적 손익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생각하여 미래 이익을 예측한다면, 경상이익 수치에 포함된 일시적 손익이 미래 이익 예측오차를 확대시킬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의 분석은 경상이익과 특별손익의 구분을 폐기하는 IASB의 손익계산서 구조개선 시안을 지지하는 실증적 증거를 제시하고 있으며, 또한 우리나라의 회계기준을 개선하는 데에도 시사점을 갖고 있다.
The Korean GAAP distinguishes ordinary income from extraordinary gains and losses, assuming that the ordinary income consists of persistent income items whereas the extraordinary gains and losses are transitory. This study examines the empirical validity of that assumption, with a focus on ``non- operating gains and losses`` included in the ordinary income. The potential candidates for transitory earnings examined in this study are: gains and losses on valuation of marketable securities, gains and losses on disposition of marketable securities, gains and losses on foreign currency transactions, gains and losses on foreign currency translation, gains and losses on redemption of debentures, gains and losses on disposition of investments/tangible fixed assets, and gains and losses on derivative transactions, most of which are gains and losses resulting from market price changes. We develop test models, using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Ohlson(1999). Empirical tests are conducted for non-financial firms over the period 1992- 2001. We find that, like extraordinary gains and losses, most of those non- operating gains and losses have no persistence. We find similar results in the price-level regressions. The results indicate that neither extraordinary gains and losses nor those non-operating gains and losses have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for stock prices of the sample firms. Thus, our test results indicate that those non-operating gains and losses as well as extraordinary items are transitory earnings. These result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current GAAP classification of income i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