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일반긴장이론을 기본으로 부모관계, 교사관계, 비행친구를 조건변인으로 하고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청소년의 정서 행동상의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한국복지패널 4차(2009년)조사 중 부가조사(아동조사)로 조사된 609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 방법으로는 각 요인과의 관련성을 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부모관계, 교사관계, 비행친구와 학교폭력 피해경험 요인은 청소년의 정서 행동상의 문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관계, 교사관계, 비행친구는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함께 청소년의 정서 행동문제에 대한 상대적인 영향력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이 학교폭력을 경험할 시 나타내는 우울 및 불안, 위축, 주의집중 문제는 부모관계와 교사관계가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비행, 공격성의 문제는 부모관계와 비행친구가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학교폭력 피해경험을 가진 청소년을 상담할 때, 청소년이 나타내는 피해증상에 따라 차별적인 개입 방안을 가지고 다루어져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social relationship and school violence on adolescents`s emotional/ behavior problems with 609 persons in middle school students. The cohorts belong to the 2009 panel of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According to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present study found the different effects of social relationships and school violence on the emotional and behavior problem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rent`s relationship, teacher`s relationship and the victim of school violence have an effect on the internal emotional & behavior problems. Second, parent`s relatioship, deviant peers, and school violence exert an effect on the external problems. Especially, deviant peers and school violence have an effect on the emotional/behavior problems. These results agree with the part of The General Strain Theory.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counselors should have different strategies for adolescents exposed to school viol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