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43
216.73.216.143
close menu
KCI 등재
왜곡된 욕망과 정신건강 -치료제로서의 심리상담과 철학상담-
Crooked Desires and Mental Health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Philosophical Counseling as a Cure-
이진남 ( Jin Nam Yi )
철학연구 44권 207-232(26pages)
UCI I410-ECN-0102-2012-100-002854713

신자유주의 체제하에서 가속되어온 극심한 경쟁과 소외는 현대인들의 욕망의 구조도 왜곡해왔다. 현대인들은 군중의 집단적 욕망속에서 진정한 자신을 잃어버리고 표류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현대인들이 가지는 욕망의 특징을 살피고 그에 대한 치유로서의 심리상담과 철학상담의 가능성을 짚어본다. 이를 위해 제2절에서는 현대인의 욕망을 부정성과 타자성으로 규정한다. 치열한 무한 경쟁의 장이 되어버린 현대 사회의 사람들에게 욕망은 두 가지 왜곡된 특징을 가진다. 즉, 적극적으로 무엇을 원하는 대신 낙오와 소외를 당하지 않으려는 부정적인 모습과 자신의 욕망으로 착각하지만 실제로는 타인들의 욕망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는 모습을 보인다. 제3절에서는 심리상담이 이러한 현대인들의 왜곡된 욕망을 치유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점을 각각 행동주의, 긍정심리학, 인본주의 심리학의 측면에서 밝힌다. 제4절에서는 철학상담이 왜곡된 욕망을 치유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주제에 있어서의 규범성과 방법에 있어서의 비판성을 통해 보인다.

The extreme competition and alienation under the neo-liberalist society have distorted the structure of human desire in contemporary era. Men in these days lost their real self and drift without any destination in blind collective desires. In this essay, I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desires in contemporary humans minds and check the possibility of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philosophical counseling as a cure for the crooked desires. For these, I, in section two, propose negativity and otherness as two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in crooked human desires of the contemporaries. We try not to dropped behind and not to be alienated instead of positive strife for something. We desire what others desire though we think that as our own. In section three, I argue that psychological counseling cannot take the mission for cure of this crooked desires through examining behaviorism, positive psychology and humanistic approaches. In section four, I show that philosophical counseling can do the job with its normative approaches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