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묘를 이용한 보리와 밀의 흰가루병에 대한 실내 대 량 검정 방법을 개발하고 국내 육성 품종 및 유전자원에 대해 저항성 정도를 검정하였다. 종이 봉투를 이용한 유 묘 검정은 파종에서 접종이 가능한 생육까지 약 10일이 소요되었으며, 접종 후 발병 및 검정까지는 약 8일로 3주 이내에 저항성 정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방법은 1회 에 180종 이상을 검정할 수 있다. 유묘 검정시 저항성 반 응은 포장과 마찬가지로 무감염과 괴사증상 두가지 반응 을 보여 이를 이용하여 저항성 정도를 판정할 수 있었다. 국내 육성 보리 79품종 중 겉보리에서는 ``상록보리``만이 저항성이었고, 맥주보리에서는 ``다진보리``가 저항성을 보 였고 ``제주보리``는 중도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쌀보리와 밀 25품종은 모두 감수성을 보였다. 이 결과는 포장에서 의 저항성성과 같은 결과를 보여 맥류의 흰가루병 저항 성 검정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한편 국내에서 보리와 밀의 품종육성에 이용되는 유전자원 검정 결과 맥 주보리에서 가장 많은 51종이 저항성 자원으로 선발되었 다. 그러나 겉보리와 쌀보리 796종과 밀 273종에서는 저 항성 자원이 확인되지 않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easy seedling method to test large amounts of barley and wheat cultivars for resistance of powdery mildew. In addition, we also examined the resistance of genetic resources that have been used in barley and wheat breeding programs in Korea. This seedling test used paper bag with seeds can be completed within three weeks. 10-day seedlings were available to inoculation and 8 days was needed for result reading. This method can test at least 180 collections at one time. we can identify the two resistant types by leave symptoms showed non infection and necrotic spots. Among the 79 Korean barley cultivars, only two cultivar, ``Sangrokbori`` and ``Dajinbori`` were resistant and ``Jejubori`` showed moderate resistant. There was no resistant in hulless barley and wheat cultivars. It was same results in comparison of earlier resistant reports in field test. We confirm that this method could using in test of powdery mildew resistance in barley and wheat. Among the 1,401 genetic resources using in Korean breeding program, malting barley has more resistant collections comparing to 796 hulled and hulless barley and 273 wheat germplas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