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민관부분을 아우르는 협력적 거버넌스 구조에 대한 심도 있는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통해 더욱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지방정부의 거버넌스 구조 개발에 대한 함의점을 찾고자 노력하였다. 사례연구 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는 협력적 거버넌스 구조가 가진 한계와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공공부문, 민간부문, 그리고 비영리부문 사이의 협력은 효과적 공공서비스 제공에 강한 인센티브로 작용될 수 있음을 밝혀내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협력의 과정에서 합의를 이끌어 내고 정교한 대화 혹은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다양한 관점을 가진 이해관계자들 사이에 공유된 비전을 이끌어 낼 수 있다면, 커뮤니티의 이득을 극대화할 수 있는 투자를 보다 쉽게 확보할 수 있을 것임을 강조하고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developing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governance structures in local government through examining an alternative governance structure, collaborative governance, based on case studies and a survey of literature. Collaborative arrangements might be a good incentive to deliver public services efficiently and effectively through cooperation among public, private and nonprofit sectors although such collaborative governance structures also have some issues and problems. Building mutual agreement and shared visions through an authentic dialogue or communication among stakeholders who have various perspectives and interest will make it easier to drive investment and magnify the benefits for the commu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