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여성음주가 부끄럽거나 숨기고 싶은 문제행동이 아닌 자연스럽고 당연한 정상문화로서 여성음주의 의미와 세부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월 1회 이상 음주경험이 있는 수도권 거주 남녀 800명을 대상으로 음주행태일반(선호주종, 빈도, 차수, 맥락, 음주량 등), 주종 이미지 및 선택이유, 음주량 변화 등에 대한 조사를 실시·분석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들은 맥주를 선호하고, 주로 친구나 가족이 주된 음주상황이었으며, 대체로 주 1회 미만의 음주빈도로 1회 음주 시 소주 반병을 약간 넘는 정도의 음주량을 보였다. 이는 남성들의 빈도와 양에 비해 절반수준이었으며, 선행연구에 비해 맥주의 선호도가 증가되었다는 점이 특징이다. 둘째, 연령에 따른 여성음주 특성은 20대에 가장 많이 마시고, 30대에 급격히 감소하다 40대 들어 다시 늘어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맥주의 선택이유는 맛이 주된 요인인 반면 소주의 선택이유는 경제적인 요인이 주로 작용하였다. 그리고 맥주의 주된 이미지는 ``젊음``, ``유행/세련``인 반면 소주의 이미지는 ``오리지널/정통성``, ``경제적``이라는 이미지가 강했다. 이는 여성들의 주종 선택이 자신을 드러내는 ``기호학적 의미``를 지닐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넷째, ``친구/선후배``와 음주맥락은 여성의 경우 ``가족/친지``의 맥락과 유사한 반면, 남성들은 ``직장동료``의 맥락과 유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선행연구의 결과와 비교하여 제시하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추가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 women drinking culture, not as problematic approach but as normal culture approach.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800(man:495, women:305) adult people who have experience of drinking more than once in the last month.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women who preferred beer, and were mainly drink with friends and family situation. Women drinking frequency were usually less than 1 time per week. Women alcohol consumption amount at a time was little more than half a bottle(converted into soju-Korean traditional distilled liquer). Second, the age of most women in their 20s drinking alcohol properties, are decreased and 30s tended to be rising again in 40. Third, the reason for the selection of beer is flavor, while the main factor why the choice of soju mainly acted as an economic factor. And the main image of the beer ``youth``, ``fashionable / stylish``, whereas the ``original / legitimacy``, ``economic`` image was strong on soju. Selecting the type of alcohol, women is exposing their ``semiotic meaning``. Fourth, ``friends/seniror and junior`` context in alcohol consumption is different in gender: women`s context is similar to the context of ``family``, whereas man`s context of ``colleagues``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context.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