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9
216.73.216.9
close menu
KCI 등재
친밀한 관계경험과 성장적 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xperience of close relationship, Intentional Rumination on Posttraumatic Growth
김진수 ( Jin Soo Kim ) , 서수균 ( Su Gyun Seo )
UCI I410-ECN-0102-2012-530-002273474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외상 이후의 친밀한 관계 경험과 성장적 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성장적 반추가 외상 이후의 친밀한 관계 경험과 외상 후 성장을 매개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부산시내 대학에 재학 중인 317명(남성 150명, 여성 167명)에게 외상경험 체크리스트, 지각된 사회적 지지 척도, 친밀한 관계경험 척도, 외상 후 성장 척도로 이루어진 설문을 실시하였다. 응답내용을 바탕으로 상관분석과 공변량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회적 지지와 성장적 반추는 외상 후 성장과 정적상관을 애착회피는 부적상관을 나타내었다. 이후 사회적 지지와 애착회피를 친밀한 관계경험이라는 변인으로 묶어 공변량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성장적 반추가 친밀한 관계경험과 외상 후 성장을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외상 이후의 지지적 경험이 외상경험자의 정서적 고통을 완화시키고 외상 사건을 이해하려는 메타인지과정을 활성화시켜 외상 후 성장을 돕는다는 외상 후 성장 모델과 일치하는 결과라고 생각된다. 또한 외상 이후의 친밀한 관계경험은 외상으로 인한 정서적 고통을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필수적이지만, 고통의 감소 자체가 외상 후 성장의 원인은 아니라는 것을 연구 결과를 통해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perience of close relationship and intentional rumination on posttraumatic growth. This study also aims to examine whether the intentional rumination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lose relationship and posttraumatic growth. For this purpose, sample of 317 university students (150men and 167 women) in Busan. were asked to complete Perceived Social Support Scale, Experience of close relationship-R Scale, Rumination Scale, and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Simple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s a result of the simple correlation analysis, posttraumatic growth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support, intentional rumination an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attachment-avoidance. After social support and attachment-avoidance combined to form experience of close relationship, structural modeling were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showed that intentional rumination had full mediation effect between the experience of close relationship and the posttraumatic growth. Finally, limitation of the present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s well as the clin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s findings, were discuss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