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초등학생의 정서인식 및 표현 척도 타당화 연구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Emotion Expression Scale for Children
최은실 ( Eun Sil Choi ) , 방희정 ( Hee Jeong Bang )
UCI I410-ECN-0102-2012-350-002396098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정서 인식 및 정서 표현능력은 정서발달의 핵심적인 요소로써, 개인내적인 안정성과 대인관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정서 인식과 정서 표현을 적절히 하는 것은 아동기 및 이후 적응에 직결되는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Penza-Clyve와 Zeman(2002)가 개발한 정서인식 및 표현 척도(EESC)는 아동의 정서 인식의 어려움과 정서 표현의 어려움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로서, 총 1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서인식 및 표현 척도를 한국어로 번안하고 국내 초등학생 표본을 중심으로 그 신뢰도와 타당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집단은 충청도에 소재하는 초등학교에 다니는 4-6학년에 재학 중인 총 545명의 초등학생으로, 남학생이 260명, 여학생이 285명이었으며, 4학년 149, 5학년 169, 6학년 227명이였다. 결과에 의하면 정서인식 및 표현 척도의 내적 일치도는 .80이었으며, 194명을 대상으로 한 재검사 신뢰도는 .67로서 적절한 수준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검사의 구인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2개 하위 요인이 적절히 변별됨을 보여주었다. 또한 검사의 공존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정서, 내현화증상, 사회성과 관련된 다양한 심리학적 구성 개념들과의 관련성을 알아보았으며, 그 결과는 기존 연구나 이론들과 일치하는 결과를 보임으로써 이 척도의 타당성이 입증된 것으로 보인다.

As essential components of emotion development, emotional identification and emotional expression play an important role in inpersonal st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Emotional identification and emotional expression ability is a prerequisite for adaptive psychological and social development. Penza-Clyve and Zeman(2002) devised the Emotion Expression Scale for Children(EESC) measuring emotion awareness and emotion expre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anslate the EESC into Korean and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translated questionnaire. Total 545 upper level elementary-school students (male: 260, female: 285) in Choong-Chung do participated. The reliability analyses revealed high internal consistency and moderate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EESC. Factor analysis of the rest items revealed that the two subscales were discriminated cleary. To test the validity of the EESC, we examined correlations between the EESC and various psychological constructs including other emotion awareness and expression scale, depression, anxiety, sociality and aggression. The range of correlations were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examining similar variables. Considering the level of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EESC, it will provide a useful tool for emotional awareness and emotional express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