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싱 시추공 구간의 밀도검층에서 정확한 밀도 값의 산출을 위한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세 종류의 서로 다른 밀도를 가진 보정 실험공에서 공벽과 검출기 간의 이격 거리를 달리하면서 세 가지 다른 검출기 옵셋 거리에 따른 반응 값의 변화를 알아보았으며 과거 석유 검층에서 이수 보정에 활용되어 온 spine and ribs 기법을 활용함으로써 케이싱 속에서의 감마감마 측정치로부터 지층의 참 밀도를 찾아가는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A preliminary study was made for density correction for the effect of separation between sonde and borehole wall due to the existence of casing in a borehole. Firstly, series of gamma-gamma measurements were obtained with 3 different separations in 3 different density models constructed i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Secondly, density correction charts were made based on the ``spine and ribs`` technique in mud cake correction. Using these charts, we could determine effectively the true density from the measurement in the thinly cased boreho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