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두 개의 하위 연구에 걸쳐 대학생을 대상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분노표현양식을 기준으로 어떤 하위유형 집단이 존재하는지 알아보고 각 집단별로 대인관계문제와 행복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먼저 연구 1(n = 90)에서 분노표현양식의 하위 요인 점수를 군집변인으로 투입하여 2단계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집단 1(적응적 분노조절 집단), 집단 2(낮은 분노 관여 집단), 집단 3(높은 분노 관여 집단), 그리고 집단 4(억제형 분노조절 집단)의 네 집단이 나타났다. 집단 간에 대인관계 문제에서 어떤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변량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집단 4(억제형 분노조절 집단)가 다른 집단에 비해 전반적으로 많은 대인관계문제를 보였다. 연구 2(n = 93)에서는 연구 1의 군집분석 결과를 확인적 차원에서 교차타당화 하기 위해 다른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연구 1과 동일한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연구 1에서 나타난 집단과 비슷한 패턴의 네 집단이 나타났다. 네 집단 간에 행복지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집단 2(낮은 분노 관여 집단)의 행복지수가 다른 세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끝으로,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분노표현양식과 정신건강 사이의 관계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undetaken with two sub-studies, examined the subtypes of college students in terms of the sub-factors of anger expression styles (Anger-In, Anger-Out, & Anger-Control) and their differences on the scores of interpersonal problems and happiness. In Study 1 (n = 90), the results from a two-stage cluster analysis entering the sub-factor scores as the clustering variables suggested the presence of four clusters (adaptive anger-control group, low anger-involving group, high anger-involving group, & suppressive anger-control group). Additionally, a MANOVA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on the scores of interpersonal problems among the four groups. As a result, suppressive anger-control group showed the highest level of relationship problems among the four groups. In Study 2 (n = 93), another two-stage cluster analysis with the second sample of college students was performed to validate the presence of the four groups extracted from Study 1. The results provided additional support for the four groups. In addition, the results of a one-way ANOVA, adaptive anger-control group reveal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happiness than the other three groups. Finally, this study ends with the discuss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nger expression styles and mental heal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