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개월령, 수컷 진도개가 오른쪽 후지 파행으로 의뢰되었다. 이 개는 방사선 검사를 통하여 오른쪽 대퇴골의 단순 골절로 진단되었다. 대퇴골절의 수술적 교정 이후, 술 후 진통제로 합성 아편계 유사 약물인 트라마돌이 정맥 내 주사로 투여되었다. 트라마돌의 투여 직후 발작이 시작되었다. 집중적인 환자 관리에도 불구하고 투여 약 17시간 후 이 개는 폐사하였다. 폐사를 하게 된 원인과 관련하여 트라마돌의 투여에 의한 발작이 연관되어 있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었다. 부검을 실시한 결과 조직병리학적 분석에 따라 본 환자는 괴사성 수막뇌염(NME)으로 진단되었다. 괴사성 수막뇌염을 가진 개에서 트라마돌의 투여가 폐사를 일으킨 발작의 유발과 관련되어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본 증례를 통해 트라마돌이 통증 관리에 있어 안전하고 효과적인 약물로 알려져 있으나 뇌염, 뇌수두증, 뇌병증 등의 신경계 질환이 있는 환자에서는 주의 깊게 사용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 Jindo dog (8-month-old, intact male) was referred for hind limb lameness on the right side. The dog was diagnosed with a simple femoral fracture by radiological examination. After surgical fixation of the femoral fracture, tramadol: a narcotic-like synthetic analgesic was intravenously administrated for post-operative analgesia. After injection of the tramadol, generalized tonic clonic seizure was immediately occurred in the dog. Seventeen hours later, the dog died despite intensive care. We suspected that tramadol might induce the seizurogenic effect resulted in death. A necrops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cause of the death. In consequence, the dog was diagnosed as necrotizing meningoencephalitis (NME) based on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We would be concerned that tramadol may be related to seizure activity in the NME patient. From this case, it is known that although tramadol has been proven to be a safe and effective agent for the control of pain in veterinary medicine, it would be carefully used to patient with history of neurological diseases including meningoencephalitis, hydrocephalus, and encephalopath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