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지각된 모의 양육행동, 애착 안정성, 거부 민감성 및 자기개념 명확성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지각된 모의 양육행동과 자기개념 명확성의 관계를 애착 안정성과 거부 민감성이 매개한다는 연구모형을 설정하였으며,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 및 근교에 소재한 5개 대학의 남녀 대학생 409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주요 변인들에 대한 성차 분석 결과 거부 민감성에서만 유의미한 성차가 발견되어 여성이 남성에 비해 거부 민감성이 높게 나타났다. 연구 모형 검증 결과 지각된 모의 양육행동의 하위차원인 돌봄과 과보호 중 과보호가 자기개념 명확성에 직접 경로를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동시에 지각된 모의 양육 행동의 하위 차원인 돌봄과 과보호 모두는 모에 대한 애착 안정성과 거부 민감성을 매개로 하여 자기 개념 명확성을 설명하는 간접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모형에서의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다집단 분석 결과, 본 연구 모형이 남녀 모두에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mother`s parenting behaviors, Attachment security, Rejection sensitivity and Self-concept Clarity.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is study suppose that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mother`s parenting behaviors and Self-concept Clarity is mediated by attachment security and rejection sensitivity. For this research, the self-report data of 409 College student in Seoul and suburbs of Seoul were analyzed. After examining hypothetical model, subordinate levels of perceived mother`s parenting behaviors, overprotection, has a direct effect on Self-concept clarity. At the same time, Relationship between subordinate levels of perceived mother`s parenting behaviors, care and overprotection, and Self-concept clarity was mediated by attachment security to the mother and rejection sensitivity. However, care was not significant as a direct path to predicting Self-Concept Clarity. Lastly, the study model was shown to be suitable both to male and female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Path Coefficient.